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

소라껍데기에 귀를대면 바람소리는 왜 나죠?

커다란 소라껍데기에 귀를 대면 바람소리가 나는데 이런현상은 어떻게 생겨나는건가요? 어릴때부터 신기하면서도 그 이유가 궁금하더라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주변에서 발생한 소리가 소라 내부에서 진동하여 특정 주파수를 가지고 우리 귀에 전달되게 되는데 이 소리가 파도소리가 유사한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라껍데기에서 소리가 나는 이유는 공명 현상 때문입니다.

      소라껍데기의 고유한 진동수와 주변 소리 중에서 소라껍데기에 잘 공명하는 경우 소리가 들리게 됩니다.

      그리고 소라껍데기 뿐 아니라 빈 음료수나 양 손을 모아서 귀에 가져가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 소라껍데기에 귀를 대면 바람소리가 나타나는 현상은 "소라 소리" 또는 "소라 소음"이라고 불리며, 이는 실제로 바람 소리가 아니라 소라 내부의 소리를 듣는 것이 아닙니다. 이러한 현상은 오해와 미신으로 인해 퍼져나갔으며, 과학적으로 설명되는 부분입니다.

      소라는 주로 바다나 해변에서 서식하는 해파리류 동물입니다. 소라껍데기는 소라의 몸을 보호하고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소라는 귀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소라껍데기에 귀를 대더라도 실제로는 들을 수 있는 기능이 없습니다.

      바람 소리가 들리는 것은 소라껍데기에 귀를 대면 발생하는 소리가 아니라, 주변의 환경 소리나 바람이 껍데기와 상호작용할 때 나는 소리입니다. 소라껍데기에 손을 올려 대면으로써 손과 껍데기 사이의 공간이 만들어지며, 이 공간에서 바람이 흐르면서 진동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진동은 껍데기와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결국, 소라껍데기에 귀를 대면 나타나는 소리는 소라 자체의 소리가 아니며, 주변 환경 소리와 바람 소리의 조합으로 인해 들리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라 껍질에는 공기가 이동하는 구멍이 있답니다.

      소라 껍질을 뒤로 들고 물을 담으면 일부 구명에서 무리 세어나옵니다.

      그곳에서 공이가 이동하는데 구멍은 작고 그에 비해 내부는 동굴처럼 되어 있어 바람소리가 크게 들립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커다란 소라껍데기에 귀를 대면 바람소리가 나는 이유는 소라껍데기의 공명 현상 때문입니다. 공명 현상이란 어떤 물체가 특정 주파수의 소리에 진동하여 그 소리를 증폭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소라껍데기는 나선형으로 굴곡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구조는 소리의 파동을 모아서 특정 주파수의 소리에 진동하게 합니다. 따라서, 소라껍데기에 귀를 대고 바람을 불어넣으면 바람의 소리가 증폭되어 바람소리가 들리는 것입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귓가에 댄 소라껍질에서 소리가 나는 것은 소라껍질에서 일어난 공명1) 때문입니다.

      소라껍질이 아닌 빈 음료수병의 주둥이 부분을 귀에 가까이 가져가도 심지어는 두 손을 곱게 귀에 모아도 소리가 갑자기 크게 들리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크기나 모양, 재질에 따라 물체는 서로 다른 진동수를 갖기 때문에 서로 다른 소리를 냅니다.


      이렇게 각 물체마다 갖고 있는 진동수를 고유 진동수라고 합니다. 물체에 주기적으로 힘을 가하면 물체는 매초마다 이 고유 진동수만큼 진동합니다.

      만일 힘을 가한 주기가 물체가 갖고 있는 고유 진동수와 같으면 물체의 진폭2)은 더욱 커지게 되는데 이를 공명이라 합니다.

      만일 소리의 경우라면 더욱 큰 소리가 나게 되는 것이지요.

      소라껍질에서 나는 소리는 주위의 여러 가지 소리 중에서 소라껍질의 고유 진동수와 같은 소리가 공명 현상에 의해서 더 크게 들린 것입니다.


      이러한 공명 현상은 우리 주위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네를 밀어줄 때 그네가 가진 고유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로 밀어 주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높이 올라가는 것, 세탁기가 탈수할 때 세탁조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면서 세탁기의 고유 진동수와 같아지면 어느 순간 세탁기가 크게 흔들리는 것, 건물 내에서 이야기하며 걸어가다 보면 내가 말한 소리가 갑자기 크게 울리는 것을 경험할 수 있는데 이것들 모두 공명 현상의 일종입니다.


      그럼 같은 바다에서 온 소라껍질이라 하더라도 크기나 모양에 따라 바다 소리는 다르겠지요. 빈 병이나 사람의 손도 마찬가지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귀에 소라껍데기를 대면, 소리 파동이 껍데기 내부로 전달됩니다. 이 때 껍데기의 곡선 모양과 내부 공간은 파동을 반사하고 산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파동이 껍데기 안에서 반사되고 산란되면서 여러 경로를 통해 귓속으로 전달됩니다. 결과적으로, 소라껍데기를 귀에 대면 파동이 반사되고 산란되어 일종의 잔향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잔향은 우리가 바람소리로 인식하는 소리와 유사한 효과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라껍데기에 귀를 대면 바람소리가 나는 이유는 소라껍데기가 음향을 전달하는 특성 때문입니다. 소라껍데기는 구조적으로 곡면 모양을 가지고 있어, 외부 소리를 소라 내부로 집중시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바람은 소라껍데기의 표면에 부딪히면서 진동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 진동은 소라껍데기 안쪽으로 전달되고, 소리 파동의 형태로 변환됩니다. 소라껍데기의 곡면 구조는 이 소리 파동을 집중시켜 소라 안쪽에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합니다. 이렇게 전달된 소리 파동은 귀에 도달하여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로 인식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라껍데기의 나선형구조가 주변소리가 들어온뒤 이리저리 부딪히며 만들어지는 소리이고 이것이 파도소리와 우연히 비슷하게들리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라껍데기에 귀를 대면 파도 소리가 들리는 것은 소라껍데기의 곡면이 진동을 증폭시켜 소리로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커다란 소라껍데기에 귀를 대면 바람소리가 나는 이유는 소라껍데기의 내부 구조 때문입니다. 소라껍데기는 나선형으로 꼬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구조는 공기의 흐름을 증폭하는 역할을 합니다. 소라껍데기에 귀를 대면, 소라껍데기의 외부로 들어오는 공기가 나선형 구조를 따라 내부로 흐릅니다. 이때,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고, 공기의 진동이 커지게 됩니다. 이러한 공기의 진동은 귀에 전달되어 바람소리로 들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라껍질에서 파도 소리가 나는 이유는 공명현상 때문입니다. 공명이란 어떤 물체의 고유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외력(소리, 파동 등등..)이 주기적으로 영향줘 진폭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현상이 바로 공명 현상이라고 합니다. 즉 소라 껍질에서 주위의 여러가지 소리중에 소라 껍질과 가장 맞는 공명소리를 들려주는 것인데 그게 파도소리 처럼 들리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