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은 용도에 따라 다르던데 제조방법상(PET 등) 구분 내용을 알고 싶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투명ㆍ불투명 등 용도에 따라 다르던 데 만드는 방법상(PETㆍPS 등) 구분은 어떻게하는지 궁금합니다.
ㅇ플라스틱이 용도에 따라 다양한데, 그 제조방법도 각기 달라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플라스틱 몇 가지를 예로 들어볼게요.
먼저,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라는 플라스틱이 있어요. 이건 주로 음료수 병이나 식품 용기로 많이 쓰여요. PET는 투명하고 가볍지만, 튼튼해서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해줘요. PET를 만드는 과정은 주로 고온에서 에틸렌 글리콜과 테레프탈산을 결합시켜서 긴 분자 사슬을 만드는 방식이에요. 이걸 '축중합'이라고 해요.
다음으로, PS(폴리스타이렌)라는 플라스틱이 있어요. 이건 주로 일회용 컵, 식품 용기, 포장재 등에 많이 쓰여요. PS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는데, 단단하지만 깨지기 쉬운 특성이 있어요. PS는 스티렌이라는 단위를 반복해서 연결하는 '라디칼 중합' 방법으로 만들어져요.
그리고 PE(폴리에틸렌)도 많이 사용돼요. 이건 비닐봉지나 플라스틱 병, 파이프 등에 쓰여요. PE는 유연하고 저렴하며, 다양한 두께와 밀도로 만들 수 있어요. PE는 에틸렌을 고압과 고온에서 중합하는 '첨가 중합' 방식으로 생산돼요.
마지막으로 PP(폴리프로필렌)도 중요한 플라스틱이에요. 이건 자동차 부품, 가정용품, 식품 용기 등에 쓰여요. PP는 강하고 내열성이 좋아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돼요. PP는 프로필렌을 중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져요.
이렇게 각 플라스틱은 그 특성과 용도에 맞게 다양한 제조 방법을 사용해 만들어져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특성도, 이런 제조 방법과 재료에 따라 결정돼요. 그래서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들이 각각 다른 특성과 용도를 가지게 되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