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감전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경우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기설비 안전관리 직무를 하는 30대 중반 여성입니다. 전기안전교육 자료를 만드는데 전기감전사고가 많이 나는 경우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감전사고는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첫째, 전기 설비 점검 시 차단기를 내리지 않거나 적절한 절연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둘째, 습기 많은 장소에서 전기 기기를 다루거나 손에 습기가 있는 상태에서 기기 조작 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셋째, 사용 중인 전선이 손상되어 누전이 생기거나, 콘센트에 너무 많은 전기 제품을 연결했을 때 전선이 과열되어 감전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항상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정기 점검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기기사입니다.
비가 오거나 그럴떄 전봇대 물로 인한 사람의 누전 감전 그리고 각 부하가 누전 상황에서 사람이 접촉하여 누전된 경우 활선된 상태에서 사람이 만져서 감전사고 등등 여러방면으로 사고가 많이 일어 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감전사고의 원인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
전선 교체 작업 중 감전,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전선을 자르다가 감전사고가 발생하거나, 누락된 전기기기가 인체에 접촉하여 감전되는 등 매우 다양한 원인이 있으니 항상 조심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ㅎㅎ 이번에는 30대여성님 전기안전까지도 담당하시네요. 일당 백이십니다.
물에 전기가 닿는 감전사고가 빈번하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산업현장 전기안전관리자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30대 후반 직장인 남성입니다. 전기감전사고는 누전에 의해서 많이 일어납니다. 절연이 좋지 못한 전자제품을 사용하고 그곳에 몸을 대면 감전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