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흑두루미
흑두루미23.04.15

비구름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건가요?

장마가 아니어도 비가 내리는데 이비구름든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 건가요?

그리고 만들어진 비구름들은 왜 강수량이일정하지 않고 어떨때는 많고 어떨때는 적게 비를 내리는 건지 궁굼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비구름은 대기 중에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체가 모여서 형성되는 구름입니다. 이 때, 대기 중의 수증기가 높은 상대습도와 충분한 냉각 환경에 노출되면, 수증기 분자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체 주위에 모여들어, 구름이 형성됩니다.

    비구름이 비를 내리는 정도는, 구름 내부의 수증기 농도, 대기 중의 상대습도, 바람의 세기와 방향, 지형, 대기 중 미세 입자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동일한 종류의 구름이라도 강수량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풍부한 수증기가 흐르는 지역에서 형성된 비구름일수록 강수량이 많을 것이고, 고산지대에서 형성된 비구름은 고도가 높아서 온도가 낮아져서 강수량이 많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를 머금은 공기가 상승하게 되면 단열팽창이 일어나고 그로인해 온도가 떨어지먄서 이슬점에 도달하게 되고 그로 인해 구름이 형성됩니다.

    그중 온대(한대)지방은 과냉각된 물방울이 빙정에

    달라붙어 성장하여 눈송이를 만들게 되고 그게 떨어지먄서 녹으면 비가 되죠(빙정성), 반대로 열대지방은 물방울끼리 충돌로 성장된 빗방울이 떨어지게 되죠(병합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