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공학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난융금속을 판단하는 기준이 철이라던데 철이 기준이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난융금속은 철의 녹는점보다 더 높은 금속을 일컫는 말이라고 하던데

난융금속으로 분류하는 기준이 철의 녹는점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철의 어떤 특성 때문에 분류상의 기준이 된 것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난융금속, 학생 때 수업으로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어려울 난, 녹을 융 자를 써서 잘 녹지 않는 금속이란 뜻으로 내화금속, 내열 금속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아시는데로 철의 녹는 점인 1540 도 보다 높은 곳에서 녹는 금속들을 총칭하는 말 입니다. 사실 난융금속의 기준이 철이된 이유는 철이 가장 널리 쓰이고 범용적으로 쓰이기 때문에 기준이 되었습니다.

    가공하기 쉽고 구하기도 쉽기 때문에 금속 중 가장 널리 사용되다보니 철이 기준이 되어 난융금속이 구별되게 되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명 평가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