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글이지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단 현재 키 182cm에 몸무게 46kg인 20살 남자입니다.
먼저 검사한거부터 말씀드릴게요. 3월에 위내시경을받고 역류성식도염 조금있다는 판정을받고
7월엔 복부CT와 뇌MRI를 찍었는데 둘다 아무이상없었습니다.혈액검사나 이런거도 이상없었구요.
새해 1월부터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하루종일 구역질은 하지않지만 할것같이 구역감이들고, 속이 울렁거리더군요.
그래서 하루이틀 넘기다가 내시경 받았습니다. 제가 어릴때 구토를 몇번 많이했었는데 그게 트라우마가되서 구토하는걸 엄청나게 싫어하고 무서워합니다. 그래서 증상이 생긴 이후로 구토할까봐 겁나기도하고 대중교통도 이용을 못하게됬습니다. 걸을땐 조금 괜찮다가 대중교통이용시 구역감이 심해지고 속이 더 안좋아집니다. 처음엔 괜찮다가 날이 지날수록 증상이 더 악화되는것 같아요. 밥은 그래도 잘 먹었었고(밥먹은후가 복부 불쾌감으로 문제였지만) 진짜 심할땐 목을 움직이지 못하거나 말도 못할정도로 구역감이 심하거나 몇번은 정말 구토할것같이 목에서 올라오는 느낌과 정말 토할것 같은 느낌이 1시간정도 지속될 때도 있었습니다. 이땐 가많히 있질 못하고 안절부절하면서 왔다갔다 하기만했네요. 신물도 올라와서 침까지 뱉어가고 삼켜가면서 참았습니다. 지금으로 한달전부터는 아침 눈뜨자마자 토 할것같고 역하기 시작합니다. 입맛도 더 없어지고 아침에 밥을 먹으려고 입에 음식을 넣으면 역하고 구역질이 나려합니다. 이때 상복부가 부어있습니다. 부풀어있다고 해야하나 볼록 나와있습니다. 아랫배는 쏙 들어가있고 윗배가 경사가 져 있듯이 부어있습니다. 밥을 조금이라도 씹어서 삼키면 배가 평평해집니다. 심할땐 2일동안 아무것도 못먹고 화장실에 누워있다 응급실만 2번정도 갔었습니다. 탈수도 심해서 수액맞을때만 잠시 좋더라구요. 도저히 내시경받고 역류성식도염에 비해 증상은 역류성 식도염이 아닌것 같아서 제대로 치료도 못하고 오래 고생중입니다... 제대로 제 증상을 말씀드리자면
-위랑 배에서 자주 꼬르륵 부르륵 거립니다
-자려고 누우면 심장 두근거리고 쿵 떨어지는 느낌이 듭니다.(이 증상은 생긴지 한달정도.)
-구역감이 하루종일 있습니다.(심할땐 말도 못하고 목 움직이기 힘듬)
-입 천장쪽에서 뭔가 올라올것 같은 느낌이 잠깐 듬
-식사 후 복부 불쾌감
-물 벌컥벌컥 못마심
-웃거나 기침,재채기할때 복압때문에 불편함
-가래같은거 자주 생김
-침도 삼키기 어려움
-식욕 엄청 떨어짐(밥먹어야겠다는 생각이 안듬)
-성욕도 떨어진것같습니다.
-두통 엄청 자주있구요. 기립성 저혈압이 심합니다.
이거 말고도 사소한 증상이 많은데 어떻게 설명해야할지 모르곘고 기억도 안나네요..
3차병원이었는데 의사선생님 말로는 내과 검사에선 아무 이상이없고 정상이니 정신적인, 심리적인 문제일것같다고 하시네요.. 3차병원에선 제가 예민한 사람이라고.. 그냥 먹고싶은거 먹으라고 하네요.. 근데 속이 안좋은데 어떻게 먹으라는지 도대체.. 몸무게도 50kg였습니다. 원래 밥을 많이 먹는편도 아니었구요. 탄산,라면,인스턴트를 엄청 자주 먹었었는데 지금은 증상이 생긴이후로 전부다 아예 끊었습니다. 저번에 내과에서 위장약이랑 자낙스정 처방받고 하루정도 괜찮았었는데 괜찮은거도 잠시더라구요. 자낙스정도 보니까 부작용에 구토도 있어서 먹기 무섭고.. 인생이 힘듭니다.. 1년 다되가게 집에만있으니 너무 힘드네요.. 입원도 하려했지만 딱히 증상이없어서 입원도 힘들다고 하네요.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심해지는것같아요.. 이젠 배가 예민해졌는지 움찔움찔거리고 긁기만해도 느낌이 이상하고 압통이있습니다..어떻게해야할지 도저히 모르겠네요... 저번엔 겨드랑이도 하루 아팠었는데.. 소변도 자주보게되네요. 밥도 반에반공기씩 억지로 매일먹네요.. 먹고나서도 바로 토할것 같은 느낌도 드네요.. 정말 정신의학과를 가봐야할까요?
너무 긴 글 죄송합니다
내과에서 아무 이상이 없다고 한다면
대학병원의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하여 상담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신체형 장애라고 , 심리적 증상 때문에 (자율신경계 자극으로)
신체적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만...
그 전에 내과적 검사가 우선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
내과검사에서 큰 이상이 없었다면 의사선생님 말씀대로 심리적인 문제일 가능성이 있으니 정신과 진료 한번 보시는 것을 권유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