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이 생기는게 자전축이 휜거랑 무슨 상관이죠?
지구는 자전축이 약 20도 틀어져 있어서 계절이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뭔가 태양이랑 거리가 중요할 것 같은데 자전축이 휜게 계절과 무슨 관련이 있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이 바뀌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지구의 공전궤도면과 수직하게 서있지 않고 기울어진 채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며 남반구가 태양과 가깝게 놓이게 되면 여름, 가장 멀게 놓이게 되면 겨울입니다.
이 때, 여름의 경우 남반구가 태양과 가까이 놓이게 되면, 지구가 자전하며 해를 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이는 그림으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여름의 경우이며, 초록색은 우리나라, 노락색은 해가 비치는 부분이고, 회색 점선은 우리나라가 지구 자전에 따라 이동하는 경로입니다.
이 때 흰색 부분을 지날 때보다, 노란색 부분(해가 비치는 부분)을 지날 때의 길이가 긴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이것이 해가 떠있는 시간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겨울의 경우는 태양이 반대 편에 위치하여 반대의 경우이고, 해가 여름보다 짧게 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전축의 휨과 계절의 변화 사이에는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습니다. 계절의 변화는 지구의 공전과 기울어진 자전축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합니다.
지구는 공전하면서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는데, 이 기울기로 인해 태양광이 도달하는 각도와 양이 변하게 됩니다. 계절의 변화는 이러한 태양광의 각도와 양의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구의 남북 반구 각각에는 여름과 겨울이 차례로 오게 됩니다. 지구가 공전하면서 남북 반구가 태양의 직선에 가까워지는 시기에는 태양광이 직접적으로 내려오는 각도가 가파르게 되어 더 많은 태양열을 받게 되고, 더 따뜻한 여름이 찾아오게 됩니다.
반대로, 남북 반구가 태양의 직선에서 멀어지는 시기에는 태양광이 내려오는 각도가 완만해져서 태양열이 분산되어 더 적게 도달하게 됩니다. 이때는 더 추운 겨울이 찾아오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계절이 생기는 이유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기울어진 자전축 때문에 공전 궤도면과 수직하지 않고, 약간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기울어진 자전축 때문에 태양의 각도와 지구의 위치가 변화하게 되며, 이에 따라 기온 뿐만 아니라 낮과 밤의 길이 등도 변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변화하는 기온와 낮과 밤의 길이로 4계절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