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철저한참새276
철저한참새27623.04.03

공전 때문에 계절이 바뀐다는데 그 이유가 궁금해요

지구의 공전이 계절이 바뀌는데 영향을주는것으로 배워서 알고있는데 무슨 원리로 계절이 바뀌는것인지 궁금해요. 기울어진 자전축과는 무슨관련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4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공전이 계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는 자전할 때 약간 기울어져 회전하고 있습니다. 이 기울어진 자전축 때문에 태양에서 오는 햇볕의 비율이 변하면서 계절이 바뀌게 됩니다.

    자전축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게 됩니다. 이때,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 온 햇볕이 지구의 어떤 지역에 직각으로 비추게 됩니다. 이 지역은 계절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자전축의 기울기에 따라 온도와 일조량이 변화하면서 봄, 여름, 가을, 겨울과 같은 계절이 발생하게 됩니다.

    즉, 자전축의 기울기가 높을수록 햇볕이 비추는 각도가 크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이 바뀌는 이유는 지구가 공전하면서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과 수직하지 않고, 약간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울어진 자전축으로 인해 태양의 각도와 지구의 위치가 변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온도와 낮과 밤의 길이 등이 변화합니다. 이렇게 변화하는 온도와 낮과 밤의 길이로 인해 봄, 여름, 가을, 겨울과 같은 계절이 찾아옵니다. 여름은 태양으로부터 많은 열을 받아와서 더욱 더 따뜻해지고, 겨울은 태양에서 받는 열이 적어져서 추워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공전과 자전은 지구의 계절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의 공전 궤도는 태양을 중심으로 태양계 평면에서 약간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 기울어진 공전 궤도로 인해 태양에서 오는 복사 에너지의 양이 계절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지구의 공전 궤도가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지구는 태양에서 오는 에너지를 받는 각도가 계절마다 조금씩 변화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북반구가 태양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6월에는 북반구에 직사광선이 많이 닿게 되어 여름이 되고, 남반구는 태양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겨울이 됩니다. 반면에 12월에는 북반구가 태양에서 멀어져서 겨울이 되고, 남반구는 태양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여름이 됩니다.

    따라서, 기울어진 지구의 자전축과 지구의 공전 궤도는 계절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태양을 1년에 한번씩 공전을 하게 됩니다.

    공전할면서 공전궤도에 따라서 지구에 태양이 미치는 영역이 조금씩 달라지게 됩니다.


    이걸 4분기로 나눠서 봄,여름,가을,겨울로 구분을 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남중고도라는건 태양이 정남쪽에위치했을때고도

    즉 완전 딱 남쪽에위치했을때의 고도입니다.

    그러니까 특정한시간을 가리키는거죠

    하루중에 태양이 정남쪽에 위치하는건 딱 한번뿐이니까요.

    이론적으로 낮 12시입니다. 닞12시에 본 해의높이가 남중고도라는거죠

    공전을 안하면 오늘 낮12시에 봣던해의높이가

    내일 낮12시에 본 해의 높이하고도 같고 한달뒤에낮12시에본 해의 높이도 같게되죠

    그러니까 공전을해야 남중고도차이로 계절변화가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조재연 과학전문가입니다.

    내가 사는 지역의 온도는 태양빛의 입사각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입사각이 작은 아침이나 밤에는 같은 양의 빛(에너지)가 넓은 범위에 작용하기 때문에 춥고, 낮에는 입사각이 높아 단위 범위당 받는 에너지의 양이 증가해서 따뜻하게 됩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에 따라 생기는 현상이죠.

    만약 자전축이 기울어져있지 않았다면, 지구가 태양을 도는 하나의 공전주기에 따른 계절의 변화는 미미했을 것입니다. 공전궤도가 비록 타원이지만, 이에 따른 에너지의 변화량은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이죠(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지만, 공전궤도의 장축과 단축의 거리 차이가 그렇게 크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짐에 따라 한낮(낮 12시)에 들어오는 태양빛의 입사각은 일정하지 않게 됩니다. 이 때, 태양의 입사각이 높아지는 시기는 여름이되고, 입사각이 낮아지는 시기에는 겨울이됩니다.


  • 지구의 공전이 계절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이유는 지구의 기울어진 자전축과 태양광선의 입사 각도 변화에 있습니다. 지구는 자전축으로 인해 공전하는 동안 항상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태양에서 온 복사선이 지구의 특정 지역에 직각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울어진 각도로 비추어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태양에서 온 복사선이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거리와 시간이 변하게 되어 계절이 바뀌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북반구가 태양에서 멀어져 있으면, 태양에서 온 복사선이 북반구에 도달할 때 지구 대기를 통과해야 하는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에 반해, 남반구는 태양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태양에서 온 복사선이 지구 대기를 통과해야 하는 거리가 짧아지게 되므로 온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지구의 기울어진 자전축과 태양광선의 입사 각도 변화로 인해, 지구 상의 각 지역에서 계절이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계절 변화는 지구의 공전과 자전, 그리고 기울어진 자전축과 태양광선의 경사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우선 지구는 태양 주변을 공전하는데, 지구의 공전 궤도는 태양과 직각입니다. 그리고 지구의 자전축은 대략 23.5도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기울어진 자전축으로 인해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비슷한 거리에서 회전할 때 양극과 적도에서 태양의 빛을 받는 각도가 다르게 됩니다. 이러한 각도의 차이 때문에 태양에서 온 에너지의 분배가 달라지고, 이것이 계절 변화의 원인 중 하나가 됩니다.

    또한, 지구가 태양을 공전할 때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계절에 따라서 변합니다. 지구의 공전 궤도는 태양과의 거리가 최소한 147백만 킬로미터에서 152백만 킬로미터까지 변화하는 타원형 궤도를 따라 움직입니다. 따라서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도 계절 변화에 영향을 줍니다.

    이러한 이유로, 지구의 공전과 자전, 그리고 기울어진 자전축이 함께 작용하여 계절이 바뀌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이 바뀌는 이유는 지구의 공전과 자전, 그리고 기울기와 태양의 위치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우선, 지구의 공전은 태양을 중심으로 한 태양계에서 일년 동안 한 바퀴 도는 움직임을 의미합니다. 지구는 공전하면서 자전도 동시에 일어나므로, 지구의 기울기에 따라 태양의 입사각이 변하게 됩니다. 기울기가 변하면서 태양의 직사광선이 지구의 특정 지역을 비추는 각도도 변하므로, 여름과 겨울처럼 계절도 변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북반구의 경우 6월 중순에는 지구가 태양을 향해 기울어져 있어 태양의 직사광선이 북위 방향으로 집중되게 되고, 이로 인해 북반구는 여름이 찾아오게 됩니다. 반면 12월 중순에는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멀어져 있어 태양의 직사광선이 남위 방향으로 흩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북반구는 겨울이 찾아오게 됩니다.


    이와 같이 지구의 공전, 자전, 기울기, 태양의 위치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계절이 바뀌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사계절 변화는 지구의 공전과 자전에 의해 결정됩니다.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하루에 한 번 자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구의 공전 궤도는 태양과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지구는 태양과 일정한 거리에 머무는 시기가 다릅니다. 이러한 위치 차이 때문에, 태양광이 지구의 표면에 닿는 각도와 양이 변하면서 사계절이 바뀝니다.

    지구가 태양과 가장 가까울 때는 태양에서 오는 직사광선이 지구 표면에 수직으로 닿게 됩니다. 그 결과, 같은 면적의 지구 표면에 더 많은 태양광이 닿게 되고, 온도가 높아집니다. 반면에, 지구가 태양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는 태양에서 오는 직사광선이 더 넓은 면적에 분산되어 닿게 되고, 온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지구의 공전과 자전에 의해 태양광이 지구 표면에 닿는 각도와 양이 변화하면서, 사계절이 바뀌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