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꽃샘추위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꽃샘 추위는 기후 변화와 상관 없는 대기 현상인건가요? 꽃샘 추위가 일어나게 되면서 사실상 봄을 느끼는건 4월이 되어야, 가능한 일인데 이러한 현상은 대한민국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서 필연적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도로 용량 확보와 기하구조 최적화입니다. 예상되는 교통량에 맞춰 충분한 차로 수를 설계하고, 도로의 곡선이나 경사 등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완만하게 만들어 차량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도록 돕는 것이 기본입니다.

    다음으로 교차로 처리가 핵심입니다. 교차로는 교통 정체의 주요 원인이므로, 신호 주기를 교통량에 맞춰 최적화하고 인접한 교차로와 신호를 연동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교통량이 많으면 입체 교차로를 고려하기도 합니다.

    또한, 고속도로 등의 진출입로를 원활하게 설계하여 본선 합류/분류가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을 활용해 실시간 교통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운영 전략도 필요합니다.

    이처럼 도로의 물리적 형태부터 운영 방식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교통 흐름 원활화 설계의 핵심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시베리아 기단의 일시적인 강화로 나타납니다.

    봄이 되면서 시베리아 기단 세력이 약해지다가 갑자기 강해지면서 발생 됩니다.

    꽃샘 추위는 단순히 대기현상 만이 아니라 기후 변화에도 관련이 깊습니다.

    온난화로 겨울이 짧아지고 기온이 상승하면서 급격한 온도 변화가 나타 납니다.

    이는 북극의 찬공기가 남쪽으로 확장되어 초봄에 일시적으로 꽃샘 추위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꽃샘추위는 보통 3월 초부터~4월 중순 사이에 발생하고 있지만 5월초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꽃이 피는 시기에 갑자기 추워지기 때문에 꽃샘추위라고 하는데요.

    꽃샘추위는 겨울동안 추웠던 북쪽 찬 공기가 완전히 물러가지 않고 아침 저녁으로 기온이 급격히 떨어져 일교차가 커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현상입니다. 보통3월 초부터~4월 중순 사이에 발생하지만 해마다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아 시기가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산으로 둘러싸인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필연적이며 꽃샘추위가 가장 심한 시기는 입춘이후(3월5~15일), 춘분 전후(3월20~25일), 봄날씨로 접어드는 4월 초이며 우리나라 지리적 특성으로 강원 산간 지역은 5월에도 꽃샘추위로 인해 서리가 내리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