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무지개는 왜 항상 나타날때 반달모양인가요?

무지개가 나타나는 모습을 보면 타원형의 모습으로 뿌려집니다.

이게 우연의 일치인가요?

왜 일직선으로는 무지개가 나타나지 않을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길례씨
    길례씨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대기 중 수증기에 의해 태양광선이 굴절, 반사, 분산되면서 나타나는 기상학적 현상입니다.

    무지개는 하늘에서 태양이 위치한 반대편에 형성되며, 대부분 호 모양으로 생기지만 원형으로도 생길 수도 있습니다.

    지상에서 관찰할때는 원의 절반만 관찰이 되기때문에 반원 모양이지만 하늘에서 관찰할때는 둥근 원모양의 무지개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의 모양이 반달 모양으로 보이는 것은 반쪽 부분이 지표면으로 가려져서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비행기처럼 높은 곳에서 무지개를 보면 원래의 형태인 둥그런 무지개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표면에서는 시야가 가려져서 한쪽 면만 볼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가끔 지표면에서도 둥그런 무지개를 볼 수 있는데 바로 태양 주변에 만들어지는 햇무리의 경우 둥그런 무지개 형태로 보입니다.

  • 무지개는 빛의 굴절과 반사에 의해서 생깁니다.

    비가 내린 뒤에는 공기 중에 수 많은 물방울이 존재하는데,

    여기에 햇빛이 들어오게 되면,내부에서 굴절과 반사가 생기게 됩니다.

    즉, 물방울이 프리즘 역할을 하여 분산에 의해 무지개를 만들게 됩니다.

    무지개가 반원인 이유는 지표면에 절반이 가려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래 무지개는 원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