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고독한일개미
고독한일개미23.01.13

한과의 종류가 어떻게 되나요?

한과는 한국의 전통 과자를 두루 일컫는 말로 한과는 튀기고, 지지고, 졸이는 3가지 요리법으로 구분된다고 하던데

한과의 종류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재빠른흰수리83입니다.

    한과는 조리법을 기준으로 유밀과, 유과, 다식, 정과, 숙실과, 과편, 엿강정, 엿으로 크게 구분된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중한해파리168입니다.

    한국에도 전통 디저트가 있을까요?

    사실 한국요리는 여러 가지 음식을 골고루 담아 놓고 먹기 때문에 꼭 서양요리처럼 한 파트를 따로 떼어내 분류하기 어렵습니다. 굳이 접목시켜 본다면 한과와 음청류(술 외의 기호성 음료) 등을 들 수 있죠.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한국의 디저트 중 대표적인 것은 바로 한과입니다.

    만드는 방법이나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서 유밀과류, 강정류, 산자류, 다식류, 정과류, 숙실과류, 과편류, 엿강정류, 엿류 등으로 나눌 수 있답니다. 그럼, 이 중에서 몇 가지 즐겨 먹는 것들을 알아볼까요?

    유과

    찹쌀가루에 콩물과 술을 넣고 반죽해 삶아낸 것을 얇게 밀어 말렸다가 기름에 튀겨 쌀 고물을 묻혀내는 대표적인 한과입니다. 엿이 포함되는 종류다 보니 여름철에는 더워서 잘 만들지 않고 겨울철에 많이 만들었습니다. 크기에 따라 산자, 강정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약과

    밀가루에 참기름과 꿀을 넣고 만드는 유밀과의 한 종류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사 때 빼놓지 않고 올리는 음식이죠. 약간 찐득하면서 뻑뻑한 듯하지만 계속 씹으면 단맛이 우러나오는 묘한 과자랍니다.

    정과

    과일이나 식물의 열매 등에 꿀을 넣고 조린 한과류입니다. 오래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즐겼다고 합니다.

    다식

    쌀가루와 깻가루, 밤 가루, 송홧가루 등을 꿀로 반죽해 다식판에 찍어낸 과자로 특유의 바스러지는 식감 때문에 호불호가 갈릴 수는 있으나 차와 함께 먹으면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독특한 향과 맛을 냅니다.


  • 안녕하세요. 로맨틱한돌꿩26입니다. 한과는 유밀과류,강정류,산자류,다식류,정과류,엿강정류 등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명랑한물소143입니다.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한국의 디저트 중 대표적인 것은 바로 한과입니다.

    만드는 방법이나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서 유밀과류, 강정류, 산자류, 다식류, 정과류, 숙실과류, 과편류, 엿강정류, 엿류 등으로 나눌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