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빼어난흑로
빼어난흑로

병자호란에서 활약한 위인에 대해 알고싶어요?

병자호란에서 누가 제일 활약한 위인이 누구인가요?

활약한 위인들에 대해 알려주세요.

위인들이 병자호란때 어떤 활약상들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병자호란은 청이 우리나라를 침범한 것입니다.

      조선을 압박하여 임금과 신하의 관계를 맺을 것을 요구 했으나 조선 정부가 이를 거절하자, 청의 태종은 10여만 명의 군대를 동원하여 쳐들어 왔습니다.

      병자호란때의 위인들

      임경업(1594~1646)

      병자호란 정묘호란때 오랑캐에 맞서서 싸운 유명한 장군입니다

      철저한 친명배청파 무장이다. 1618년 무과에 급제, 1624년(인조 2) 정충신 휘하에서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습니다

      1630년 평양중군으로 검산성과 용골성을 수축하는 한편 가도에 주둔한 명나라 도독 유흥치의 군사를 감시, 그 준동을 막았습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우리 나라로 쳐들어온 청나참를 맞아 백마산성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여 잘 막아냈습니다.

      청나라가 명나라 군대를 치기 위해 병력을 요청하자 수군장으로 참전했으나 명나라와 내통, 피해를 줄이게 했습니다.

      이경석(1595~1671)

      조선의 반청정책에 대해 청이 추궁하자 이를 모두 영의정인 자신의 책임으로 돌려 문제를 해결합니다. 위기상황에서 큰일을 한 충신입니다.

      유림(1581~1643)

      당시의 평안도 병마절도사로써 김화에서 청군을 격파합니다.

      김준용

      당시의 전라도 병마절도사로써 광교산전투에서 양고리가 이끄는 청군을 격파하고 양고리를 전사시킵니다.

      강진흔

      충청수사로써 김경징과 그 외 지휘관들이 다 도망간 후에도 강화도에 남아 적은 병력으로 끝까지 항전합니다.

      최명길

      당시 조정의 주화론자들을 대표하는 인물로 상당한 현실주의자입니다. 청군이 서울을 점령하자 청의 진영으로 가서 화친을 진행시켜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신할 시간을 법니다. 그 후로도 청과의 화친을 주도합니다.

      김상헌

      척화론자들을 대표하는 인물로 청에 대한 항복을 절대 수용할 수 없다며 자살시도까지 합니다.

      민영

      경상도군 4만을 이끌고 쌍령에서 청군과 전투를 벌이지만, 조선군의 군기와 전술상의 오류로 4만의 대군이 청의 기병 수천에게 와해되는 어이없는 패전을 하게 되고 본인도 전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경석 - 조선의 문관으로 삼전도의 굴욕이후 청의 승전을 축하하는 삼전도비의 비문 작성. 이때 심적 고통이 심했는지 글을 배운것이 한이다 라고 하였습니다.

      조선의 반청정책에 대해 청이 추궁하자 이를 모두 영의정인 자신의 책임으로 돌려 문제를 해결합니다.

      유림- 당시의 평안도 병마절도사로 김화에서 청군을 격파합니다.

      김준용- 당시의 전라도 병마절도사로 광교산전투에서 양고리가 이끄는 청군을 격파하고 양고리를 전사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병자호란은 1636년에 일어난 조선과 후진국인 만주 Qing 왕조의 전쟁입니다. 이 전쟁에서 제일 활약한 위인을 꼽는 것은 주관적인 판단이 될 수 있으나, 역사적으로 큰 업적을 남긴 인물들이 있습니다.

      1. 이익(李翊) - 이익은 조선초에 명나라의 침략으로 인해 청나라와의 교섭과 관계 개선을 추진한 인물입니다. 병자호란 때에는 수군대장으로 활약하며 전장에서 싸우는 대신 정치적 교섭을 통해 조선의 패전을 막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2. 김정호(金正鎬) - 김정호는 병자호란 당시 조선의 대장군이었습니다. 그는 전쟁에서 뛰어난 지휘력을 발휘해 일찌감치 전투를 예측하고 대응했습니다. 또한, 그는 적진에서 전사하던 병사들을 격려하고 전열을 재구성해 실전에서 승리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웠습니다.

      3. 이자경(李子卿) - 이자경은 병자호란 때 청나라와의 조약을 쓴 사람으로, 전쟁 이전에 교섭과정에서 청나라 측과의 대화를 이어나갔습니다. 이는 병자호란의 교섭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4. 이상무(李相武) - 이상무는 병자호란에서 희생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적진으로 돌진해 많은 전사자들을 구하고 적군을 막는 등 싸움에서 뛰어난 모습을 보였습니다.

      5. 강황(姜晃) - 강황은 병자호란 때 청나라의 무장을 알아보기 위해 조선군으로 청나라 측으로 정찰을 보냈습니다. 강황은 청나라군의 동행을 받으며 적진을 탐색하고, 이 정보를 조선군으로 보내 청나라의 동향을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외에도 병자호란 당시 조선의 명문가와 무신들이 역사적 업적을 남기며 뛰어난 활약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극복한 의병 활동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극복한 의병 활동가를 안천민, 김응룡, 최문병, 박응성, 박응량, 변함,변호,변문, 진섬, 최응담, 하양현 창의(倡義)8의사, 이간, 박응득, 서사선, 김시성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병자호란에서 가장 이름을 알린 장수 중 하나는 임경업장군입니다.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n310100&code=kc_age_30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정묘호란 이후 조선은 청의 공격을

      대비하여 북변 방어를 강화하였는데

      그 핵심 인물이었던 임경업은 병자호란이 일어나기까지 평양 중군, 검산산성(劒山山城, 평안도 선천 소재) 방어사,

      정주 목사, 청북 방어사, 안변부사,

      의주부윤, 의주진 병마첨절제사 등을

      지내면서 북변에 머물렀다.

      -출처: 우리역사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