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주청약시 기업의 투자를 보고 접근하는게 낫나요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공모주청약시 기업의 수요량을 보고 접근하는게
가장 좋을지가 궁금합니다.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기업의 가치도 중요하겠지만,
기관의 수요예측 현황, 공모밴드 대비 공모가의 현황,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을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청약시에는 기관투자자들의 수요예측도 중요하고 기업의 성장성과 시장에서의 평가 등도 매우 중요하니 참고하세요.
지금 공모주는 투기성 자금이 많습니다.
기업을 보고 투자를 하기에 공모가가 너무 뻥튀기 된 경우가 많기에 기업 투자는 상장 후 일정 시간이 지난뒤에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의 섹터와 기관수요예측을 보고 접근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합니다
여기에 하나 더 섞는다면 기관의 수요예측 후 공모가가 결정될 때 기존 공모가 제시 범위를
많이 초과한다면 투자자의 수익이 줄어들기 때문에 매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상장 시에 해당 공모주의 인기 여부에 따라 추후 주가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요 예측량이 높다면 추후에 가격이 많이 안떨어질 확률이 높으므로, 공모주 청약 시 해당 기업이 어떤 기업인지, 어떤 산업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하시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청약 시 기업의 투자 가치 분석과 수요량 분석은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투자 가치를 분석할 때는 장기적인 수익 창출 가능성을 평가해야 하며, 사업 모델, 경쟁력, 재무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또한, 관리진의 경험과 비전을 확인하고, 기업의 주요 리스크를 파악해 대응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요량 분석에서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결과와 개인투자자들의 투자 심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비율과 경쟁률을 확인해 공모 주가의 적정 수준을 판단하고, 온라인 커뮤니티나 투자 포털 사이트 등을 통해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를 조사합니다.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는 투자 가치와 수요량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투자 가치가 높고 수요량이 적은 경우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으며, 투자 가치가 낮고 수요량이 많은 경우 투자 실패 가능성이 높아 주의해야 합니다. 본인의 투자 성향과 위험 감수 수준을 고려해 공격적인 투자자는 수요량이 적은 종목을, 안정적인 투자를 원하는 사람은 수요량이 많은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균등배분을 노리고 소액으로 투자하는 일반투자자들의 입장에서는 기업의 투자 방향까지 보고 투자하기보다는 기관 경쟁률을 보고 하는게 가장 낫다고 봅니다.
물론 시간을 더 투입해서 투자방향등까지 보고하면 더 좋지만 가장 효율적인 것은 기관경쟁률 보고 투자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 해 주신 공모주 청약시 기업의 투자를 보고 접근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반적으로는 그렇습니다 상장하려는 기업이 어떠한 투자 행위를 하는지 어떠한 실적을 냈는지를 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청약 시 기업의 수요량을 보고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높은 수요량은 그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다는 의미로 상장 후 주가 상승 가능성이 크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요량만을 보고 결정하기보다 기업의 재무 상태와 미래 성장 가능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를 청약할 때엔 사실 기업의 미래 가치를 보고 투자해야하기 때문에 투자, 매출, 생산, 수출, 고용, 신규계약 등을 살피시는 게 좋고 이런 것들을 분석하기엔 시간이 부족하다면, 기관경쟁률을 확인하시고 경쟁률이 높으시면 투자가치가 높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청약 시 기관의 투자 움직임을 참고하는 것은 유용할 수 있습니다. 기관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개별 투자자보다 더 많은 정보와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관의 높은 청약 참여는 해당 공모주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관의 움직임만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사항들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1. 기업의 재무 상태 및 성장 잠재력: 공모 기업의 재무 상태, 비즈니스 모델, 시장 경쟁력 등을 분석하세요.
2. 공모가의 적정성: 공모가가 적정한지, 과대 평가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 시장 상황: 현재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상황도 고려해야 합니다. 시장이 불안정한 경우 공모주 투자 리스크가 커질 수 있습니다.
4. 기관 배정 물량: 기관 투자자에게 배정된 물량이 많을 경우, 상장 후 매도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보통은 공모주 청약시 기업의 조건들을 보면서 투자하는것이 안전하기는 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공모주 청약이 묻지마 청약도 많고, 최근 공모주 상장일 가격 변동폭이 바뀌면서 단타 세력들도 많이 들어오다 보니
기업의 조건 보다 공모주 분위기를 많이 타고 있습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제 생각은 공모주 분위기를 우선적으로 보고, 그 다음 기업의 가치를 보는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지난주 이노스페이스처럼 공모주 분위기가 약간 식어갈때즘 기업의 조건이 좋지 않을때 상장하면 마이너스 나는 일이 생기는것 처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