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오랫동안 중국에게 판다대여를 요청했는데 중국은 그때마다 거절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중국과 인접해있는 큰 국가인 인도가 있는데요 그리고 인도는 오랫동안 중국에게 판다대여를 요청했다고 하던데 중국은 그때마다 거절했다고 들었습니다
중국은 어떤 이유로 거절을 했던것인지 배경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과 인도는 국경 분쟁 등으로 인해 외교적 갈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판다를 외교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인도와의 관계가 좋지 않기 때문에 판다 대여를 거절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은 판다의 국외 반출을 엄격히 금지하며 현존하는 거의 모든 해외의 판다는 중국정부에 의해서 소유권을 갖고 있습니다 어떠한 동물종 전체에 대해 그 소유권이 특정 국가에 귀속되어 있는 사례는 흔한 일은 아니지만 판다는 중국 중남부에 서식하는 고유종으로 중국 외부에서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정책이 계약의 형태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판다는 멸종 위기종이며 중국의 자연 파괴가 현대만큼 심각해지기 전인 1950년대 이전부터 개체 수가 적은 동물이었습니다.중국의 급격한 산업화 후 판다의 개체수는 더욱 감소하여 1970년대에는 1000여 마리까지 줄어들었지만 연구 및 보호사업의 성공으로 현재는 2천 마리까지 늘어났다고 합니다. 판다 임대료의 상당 부분은 판다 보호 및 판다 번식과 관리의 노하우를 쌓는데 드리는 비용으로 충당이 되며 2021년 기준으로 약 50여 마리의 판다가 해외 임대되고 있는데 두 당 임대료가 100만 불이라고 쳐도 연 5천만 불 정도입니다. 인도는 대여 신청을 여러 번 했으나 인도 동물원의 관리 상태가 좋지 않다는 이유 및 인도와의 좋지 않은 사이 때문에 여러 번 반려했다고 합니다. 뉴질랜드도 2010년 존키 총리가 판다 도입을 중국 정부의 협상을 통해 시도해 보려고 했으나 결국은 무산되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도는 대여 신청을 여러 번 했으나 인도 동물원의 관리 상태가 좋지 않다는 이유 및 인도와의 좋지 않은 사이 때문에 여러 번 반려했다고 합니다. 뉴질 랜드도 2010년 존키 총리가 판다 도입을 중국 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시도해 보려고 했으나 결국 무산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