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음악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우리밀 1년 생산량은 어느 정도인가요?

밀가루는 거의 전부 수입하고 있고 밀농사를 짓는 분을 주변에서 보지 못했고 국내산 밀 생산량이 상당히 적은 양임에는 분명한데 우리나라의 밀 생산량은 어느 정도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2022년 우리나라 밀 생산량은 30천톤정도 된다고합니다.

    중국은 무려 138,000천톤이라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2022년 우리나라 밀 생산량은 30천톤으로 64위,

    북한은 65천톤으로 63위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1위는 단연 중국으로 무려 138,000천톤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밀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소비량이 매우 많습니다만, 생산량이 매우 적기때문에 밀자급률이 낮다고 하는것입니다 거의 키우지 않아 모라고 말씀드리기 곤란합니다

    더불어 이러한 낮은 밀자급률때문에 대부분의 밀은 외국으로 부터 수입합니다.

  • 1년 밀 생산량은 약 3만 톤입니다.

    이것은 1년간 밀 소비량의 99%입니다.

    밀 소비량의 99%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반면 쌀은 남아도는 기현상입니다.

    밀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우리 식문화의 변화 때문이지만

    식량이 무기화될 경우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도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밀의 생산량은 비교적 적은 편이며, 대부분의 밀가루는 수입되고 있습니다. 2021년 기준으로는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밀의 총 생산량은 약 8만 톤으로, 이는 대부분 인공적인 기술적 지원을 받은 소규모 농가에서 생산된 것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밀가루는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의 해외에서 수입되어 판매되고 있습니다.

  • 2013년 우리나라 밀 생산량은 1만9,061톤이었습니다. 하지만 밀 재배면적이 2016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다 2020년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밀 재배면적이 가장 적었던 2019년도의 밀 생산량은 1만5,024톤입니다.

    주요 식량작물 중에서 식량자급률이 가장 낮은 품목이 밀입니다. 밀은 주식인 쌀 다음으로 소비가 많은 제2의 주식이지만 99%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를 위해 2027년까지 식량자급률 55.5%를 목표로 세워 우리밀 생산 확대에 정책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수입의존도가 절대적으로 높은 밀의 경우 2021년 1.1%인 자급률을 8.0%까지 상향할 계획입니다.

    2023년 올해 예상되는 밀의 생산량은 약 6만톤 정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의 밀 생산량은 대략 4백 9십만 톤 정도입니다.


    한국은 밀의 생산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많은 양의 밀을 수입해야 합니다. 주로 미국, 캐나다, 호주, 러시아, 중국 등에서 밀을 수입하여 국내에서 가공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곡식은 쌀입니다. 쌀 생산량은 밀 생산량보다 월등히 높으며, 2020년 기준 약 4백 6십만 톤 정도 생산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2022년 밀 생산량은 30천톤으로 세계 64위에 해당하는 양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아주 오래전에는 밀을 많이 재배를 했지만 중간에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가 최근 들어서 많이 재배를 하기 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2022년 기준으로 생산량은 약 3만500~4만톤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