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질문만판다곰
질문만판다곰

욜로에서 요노로 바뀌게 된 이유가 있나요?

요즘 트렌드들이 짧은시간안에 자주 바뀌는거 같은데요.

한때 욜로를 지향했던 젊은이들이 요노라고 하면서 또 트렌드가 바뀐거 같은데요.

어떤 사건이나 배경이 있어서 바뀌게 된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특별한 계기보다는 물가상승률이 너무 커지다보니 무작정 즐기기 보다는 필요한 것만 사자는 주의의 사람들이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또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한몫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적 느낌으로는 욜로가 유행하기 시작한지 꽤 시간이 지났고, 한풀 꺾이면서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유형의 사람들이 생겨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유행의 변화가 대부분 욜로족으로 가면서 유니크함이 사라졌고 이에 맞물려 경제까지

      어려워지니 유행이 다시 요노족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 이러한 경향은 내수경제 침체에 더 큰 하락을 불러오는 나비효과가 되고 있습니다.

    • SNS에는 남들이 안하는 것들에 대한 이슈가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요노족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요노족 열풍은 미국에서도 젊은세대를 중심으로 트렌드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현재 한국도 물가가 급격하게 오르고 체감물가가 상승하면서 급격하게 올해 모든 품목의 소비가 다 감소하고 있는데요.

    이는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올해부터 현재 미국의 신용카드 연체율이 매 분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현재는 무려 10%가 넘는 수준으로 급격하게 구매력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면서 올해 코로나 관련 지원금 모두 종료되었고 이로 인하여 미국 국민들의 구매력 감소가 진행되고 있고 실제로 미국의 대표 소비주인 맥도날드나 도미노피자등 여러 기업들의 올해 매출이 감소 둔화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올해부터 이런 분위기에 맞춰서 욜로가 아닌 요노족이 젊은세대를 중심으로 키워드가 뜨고 있고 지나친 높은 외식물가 부담으로 오늘 소비를 하지 않았다는것을 일종의 보여주기식으로 SNS에서 열풍이 불고 있다고 생각이듭니다

  •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요노의 뜻은 You Only Need One 으로, 필요한것만 소비하며 살아가자는 뜻인데, 최근 인플레이션의 가속화로 물가가 상승하고 실질소득이 줄어드는 힘든 시기를 겪게되면서 젊은이들이 생각을 바꾸게된 계기가 된것 같습니다.

    이대로 소비하다간 소득을 모을수 없다는 절망적인 생각이 가장 큰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요노' you only need one 꼭 필요한 것만 사자는 것으로 장기 불황과 실업률 증가로 인한 젊은 층의 소비 트렌드가 절약모드로 바뀐 것을 뜻합니다.

  • "욜로(YOLO)"는 한 번뿐인 인생을 즐기자는 의미로 인기를 끌었으나, 경제적 불안정성과 사회적 미디어의 영향, 그리고 환경적 책임감 증가로 인해 "요노(YONO)"로 트렌드가 변했습니다.

    요노는 사회적 인정과 주목을 강조하는 새로운 생활 방식을 반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비 시장이 회복되지 않아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있는데, 지속되는 인플레이션과 고용 시장의 불안정성 등으로 인한 것으로 소비가 많이 줄었고 서비스 지출도 줄어들자 요노족이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욜로에서 요노로 바뀌게 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소비 트랜드가 욜로에서 요노로 바뀐 것은

    수입은 제자리이고 물가는 올라서 삶이 더 힘들어지기에

    트랜드 자체가 바뀐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궁금해서 찾아보니 요노(Yo-No)는 '이것만 있으면 됩니다(You Only Need One)'의 약자로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꼭 필요한 것만 하는 소비 층을 뜻하는데요

    결국 사는게 팍팍하고 물가는 오르는데 월급은 안오르니 아껴야 잘산다 마인드가 많아져서 그런듯 싶습니다

    요즘 보면 무지출 챌린지도 많이 하잖아요 시대나 배경보단 그냥 사는게 어려운거죠 ㅠㅠ

  • 과거에도 젊은 층에서 소비를 줄이는 경우가 몇번 있었다고 합니다.

    항상 그런 시기마다 경제적 특징이 경제가 불안정하고 미래가 어두울때였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최근 주식시장이나 부동산 시장 등 투자자산 시장이 불안정하고, 대출 이자도 매우 높아서 대출을 통한 소비나 투자도 어려워 지면서 과소비를 하는 트렌드보다는 절약을 하는것이 트렌드가 되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요노란 이것만 있으면 됩니다를 의미하는 ‘You Only Need One’의 약자로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꼭 필요한 것만 하는 소비 층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으호 인해 화폐 구매력이 낮아짐에 따라, 소지 패턴이 여가 측에서 필수 소비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임에 따라 전환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