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보안 질문입니다! <노트북 보안,악성코드,랜섬웨어 방지 하는 방법>
노트북 보안 질문입니다!
악성코드
랜섬웨어 안걸리는 방법
노트북 보안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른거 없습니다 내가 인터넷 사용할 때
이상한 사이트 접속안하고 이상하다고 의심되는 링크 클릭 안하고 이상하다고 생각되는 메일 열지 않으면 됩니다.
그러면 이걸 어떻게 구분하는지는 너무 많은 유형들이 존재하기에 몇가지만 말씀드리자면
이메일의 경우: 반드시 수신자의 주소를 확인하기
의심되는 사이트에 접속된 것같으면 바로 지체없이 닫기
다른 사람이 주는 파일 함부로 받거나 열지 않기 - 특히 친구가 아닌데 채팅을 걸어오는 사람 등.
1. 최신 보안 업데이트 적용
**운영체제(OS)**와 **소프트웨어(브라우저, 오피스 등)**는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하세요.
보안 패치는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을 막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입니다.
> 예: Windows 업데이트, macOS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2. 안티바이러스 및 보안 프로그램 설치
신뢰할 수 있는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시간 감시 기능을 활성화하세요.
추천 백신:
무료: Windows Defender, Avast, Bitdefender Free
유료: Kaspersky, Norton, ESET, Bitdefender Premium
3. 중요 파일은 주기적으로 백업
외장하드, NAS, 또는 **클라우드(예: Google Drive, Dropbox, OneDrive)**에 주기적으로 백업하세요.
백업은 랜섬웨어 감염 시 복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4. 수상한 링크·첨부파일 절대 클릭 금지
이메일, 메신저, SNS 등에서 출처 불명의 링크나 첨부파일은 절대 열지 마세요.
특히 ".exe", ".js", ".scr", ".zip" 파일은 주의해야 합니다.
5. 소프트웨어는 공식 사이트에서만 다운로드
토렌트, 불법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받은 파일은 대부분 악성코드 위험이 큽니다.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은 보안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6. 강력한 비밀번호 사용 및 이중 인증(2FA)
비밀번호는 영문, 숫자, 특수문자 조합으로 10자리 이상 권장.
주요 계정(Gmail, Dropbox, MS 등)은 반드시 2단계 인증을 설정하세요.
7. 공용 Wi-Fi 사용 시 주의
공공장소 Wi-Fi 사용 시 **VPN(가상 사설망)**을 통해 연결하세요.
가능하면 모바일 테더링이 더 안전합니다.
8. 불필요한 USB·외부 장치 연결 주의
감염된 USB를 통해 자동으로 실행되는 악성코드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자동 실행 기능을 꺼두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9. 보안 로그 및 활동 이력 주기적 확인
Google, Microsoft 계정 등은 로그인 이력이나 장치 활동을 확인해 의심 활동을 조기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10. 보안 교육과 지속적인 관심
자신뿐 아니라 가족, 동료들과 함께 보안 인식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안은 기술보다 습관에서 비롯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