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냉철한줄나비274
냉철한줄나비274

'불완전 연소'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연소가 잘 안된다는 의미로 알고는 있으나, 정확히 실생활에서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는 상황은 어떤 상황이며 그렇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면 어떻게 안좋은 것인지(좋은 것인지) 상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소는 산소와 강력하게 반응하여 산화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산소가 부족할 경우에 주로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게 됩니다

    • 탄소가 포함된 물질에 연소를 하면 산소가 결합되어 이산화탄소 CO2가 배출 됩니다.

      하지만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유해 물질인 일산화탄소 CO가 배출되고 이것을 불완전 연소라고 합니다.

      일산화탄소가 유해하므로 좋은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조윤하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소가 충분히 공급될 때 일어나는 연소를 완전 연소라 하고,

      산소가 불충분하거나 온도가 낮을 때 일어나는 연소를 불완전 연소라고 합니다.

      따라서 산소와 다 반응해 완전 연소하면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만 남게 되고 불완전 연소하게 되면 일산화탄소가 발생합니다.

      질문에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현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질이 연소할 때 산소의 공급이 불충분하거나 온도가 낮으면 그을음이나 일산화탄소가 생성되면서 연료가 완전히 연소되지 못하는 현상으로 자동차 배기가스의 그을음이나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배출의 원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