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과 전문의? 이부분이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의료진 약력을 확인할때
내과전문의 하고 괄호안에 분과전문의 라고 기재되어있는 약력을 보게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게 어떤걸 의미하는건가요?
더 자세한 전공을 마쳤다는 의미일까요?
진료과에는 세부 분과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내과에는 소화기내과, 호흡기내과, 내분비대사내과 등등이 있습니다. 내과전문의 분과전문의는 그러한 세부 분과의 수련까지 받으신 분들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의사 면허를 취득하고 인턴(1년) 전공의(3-4년) 생활을 거치면 해당 과목의 전문의(내과, 외과, 소아과 등등)가 됩니다. 이후 펠로우(최소 1-2년)과정을 거치면 세부전문의가 되는데 이것을 분과라 볼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내과 내에는 호흡기, 소화기, 알레르기, 심장 내과 등 다양한 분과가 있으며 내과 전문의를 마친 후
1~2년 정도 더 분과를 하는 것을 분과 전문의라고 합니다. 이는 해당 학문을 좀 더 공부한 상황을
의미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인턴 1년
전공의: 3년 또는 4년
전공의를 마치고 내과 전문의 자격을 획득합니다. 이후에 펠로우라고 대학병원에서 분과별로 또 수련을 받습니다. 1-2년.
내과 전문의를 획득하고 나서 내과 안에서 있는 분과들이 있습니다(소화기, 내분비, 호흡기, 순환기 등) 해당 분과에 대한 수련을 추가로 받아서 분과 전문의 자격을 획득했다는 뜻입니다.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우선 내과 레지던트 과정 (4년 , 최근은 3년?) 를 마치면 내과 전문의 자격증을 획득합니다
그 후 전임의(펠로우) 과정을 (보통 2년) 통해 자격조건을 충족하면
분과 전문의 자격을 획득합니다 ex: (내과중) 소화기 내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