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T850모델
T850모델

분과 전문의? 이부분이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성별
남성
나이대
43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의료진 약력을 확인할때

내과전문의 하고 괄호안에 분과전문의 라고 기재되어있는 약력을 보게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게 어떤걸 의미하는건가요?

더 자세한 전공을 마쳤다는 의미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진료과에는 세부 분과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내과에는 소화기내과, 호흡기내과, 내분비대사내과 등등이 있습니다. 내과전문의 분과전문의는 그러한 세부 분과의 수련까지 받으신 분들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의사 면허를 취득하고 인턴(1년) 전공의(3-4년) 생활을 거치면 해당 과목의 전문의(내과, 외과, 소아과 등등)가 됩니다. 이후 펠로우(최소 1-2년)과정을 거치면 세부전문의가 되는데 이것을 분과라 볼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내과 내에는 호흡기, 소화기, 알레르기, 심장 내과 등 다양한 분과가 있으며 내과 전문의를 마친 후

      1~2년 정도 더 분과를 하는 것을 분과 전문의라고 합니다. 이는 해당 학문을 좀 더 공부한 상황을

      의미하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인턴 1년

      전공의: 3년 또는 4년

      전공의를 마치고 내과 전문의 자격을 획득합니다. 이후에 펠로우라고 대학병원에서 분과별로 또 수련을 받습니다. 1-2년.

      내과 전문의를 획득하고 나서 내과 안에서 있는 분과들이 있습니다(소화기, 내분비, 호흡기, 순환기 등) 해당 분과에 대한 수련을 추가로 받아서 분과 전문의 자격을 획득했다는 뜻입니다.

    •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우선 내과 레지던트 과정 (4년 , 최근은 3년?) 를 마치면 내과 전문의 자격증을 획득합니다

      그 후 전임의(펠로우) 과정을 (보통 2년) 통해 자격조건을 충족하면

      분과 전문의 자격을 획득합니다 ex: (내과중) 소화기 내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