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참신한호박벌102
참신한호박벌102

부대찌개 음식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평소에 점심 메뉴로 부대찌개를 자주 직원분들과 먹곤 하는데,

이 부대찌개라는 음식의 어디서 처음 만들어져서 전파된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미군부대 미제식 소시지 자투리나 부산물 모아서 양념해서 끓여먹던게 말 그대로 군부대 음식이라 부대찌개라 부른다고합니다

      부대찌개는 6.25 전쟁 후에 미군 부대에서 흘러나오는 햄, 소시지를 김치찌개에 넣어서 푸짐하고 양 많게 먹을 수 있는 찌개로 활용하면서 시작되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부대찌개는 대한민국 전쟁 당시 미군 부대에서 만들어진 음식으로, 부대라는 이름은 부대에 들어있던 가공식품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는 의미에서 유래했습니다.

      전쟁 당시 미군 부대에서는 주로 살코니, 햄, 스팸, 비엔나 소시지 등 가공식품을 사용했고, 이러한 가공식품들이 군부대에서 제공되었습니다. 이 가공식품들을 이용해 만들어진 부대찌개는 군인들의 영양 공급을 위해 만들어진 음식이었습니다.

      부대찌개는 군인들뿐 아니라 미군이 전쟁을 끝내고 귀국한 뒤에도 인기를 얻어 대한민국 전역에 퍼지게 되었습니다. 부대찌개는 지금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25 전쟁 직후 미국부대에서 쓰고 남은 햄과 소시지를 이용하여 끓여 먹은 찌개를 부대찌개라고 했습니다.

      전쟁이 한창이던 시절, 미군부대 근처에서는 소시지와 햄을 쉽게 구할 수 있었고, 일명 '부대고기' 라고 불렸는데 여기에 고추장을 풀고 김치를 넣어서 끓이면 느끼한 맛이 사라져 제법 먹을 만했다고 합니다. 부대찌개는 당시 미국 대통령인 린든 B. 존슨의 성을 따서 '존슨탕'이라고도 했습니다.

      햄과 소시지를 처음 접한 사람들은 '고기로 만들었지만 고기는 아닌' 맛에 흠뻑 빠져 들었으나 반찬으로 먹기에는 뭔가 부족하다고 느꼈고, 결국 고심 끝에 얼큰한 맛을 더해 만들어낸 것이 부대찌개가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초창기 부대찌개는 미군 부대에서 유출되는 각종 재료의 양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크게 번질 수 없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미군 부대의 것과 같은 질 좋은 햄, 소시지가 국내 기업에서도 생산되었고 1990년대에 들면서 부대찌개는 외식업계의 한 축을 형성하였다 합니다. 현재 부대찌개는 그 재료가 미국산이라도 정식으로 수입된 것을 사용한다고 하지요. 의정부나 동두천에 부대 찌개가 유명한 이유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부대찌개는 문자 그대로 군부대의 찌개라는 뜻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국물요리이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재로는 햄, 소시지, 베이크트 빈즈, 김치, 라면, 떡, 두부 등이 있다.

      한국 전쟁이 일어난 후 한국은 먹거리가 부족했다. 이에 미군과 관련된 일을 하던 사람들이 경기도 동두천시와 양주시, 의정부시, 평택시, 군산시에 주둔하던 미군 부대의 핫도그나 깡통에 든 햄을 이용하여 고추장과 찌개를 만들어 먹었다. 초기에는 미군이 먹다 남은 것으로 만들어 먹거나, 군수보급품을 몰래 빼내어 음식 재료를 섞어 만들어 먹었다. 이 부대찌개는 가난을 벗어났지만 여전힌 인기있는 음식이다. 부대찌개로는 지금도 의정부 부대찌개가 유명하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부대찌개는 한국 전쟁 이후로 미군 부대가 주둔 하기 시작하면서 미군부대에서 나오던 소세지와 햄을 가지고 요리를 했던 것 부터 시작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부대찌개는 송탄과 의정부가 유명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한 이후 한국에 미군이 주둔하게 되고 주한미군 부대에 납품되던 스팸, 소시지, 베이컨 등이 부대 밖으로 유출되면서 남은 음식을 김치와 함께 넣고 솥뚜껑에 볶은 요리가 원조인데, 볶으면 자꾸 태워서 물을 부어 보니 술안주나 밥반찬으로 적당한 찌개가 탄생해 지금의 형태로 완성된 것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또, 부대찌개의 시작이 한국전쟁과 관련없이 60년대 이후에 시작했다는 주장이 있는데

      황석영의 에세이에 나온 내용으로 당시 파월장병에게 김치를 공급하는 것이 큰 숙제였는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김치에 방사선을 조사하면 6개월 정도 맛을 유지한다는 것을 밝혀냈고, 이후 김치 통조림이 베트남의 국군장병들에게 공수되기 시작했고, 미군의 기름인 C레이션 보급품인 햄이나 소시지를 섞어서 김치찌개처럼 끓여먹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군부대 미제식 소시지 자투리나 부산물 모아서


      양념해서 끓여먹던게 부대찌개에요


      말 그대로 군부대 음식이라 부대찌개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부대찌개는 군인들이 먹었던 음식이 아니라 미군부대 주변 지역에서 먹기 시작한 음식이었다. 한국전쟁 직후 미군부대에서 흘러나온 햄과 소시지 등 재료에 김치와 고추장을 섞어 얼큰하게 끓인 찌개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 안녕하세요. 부대찌게의 영업한 역사로 봐서는 의정부가 원조 이고, 의정부 부대찌개 골목에 있는 오*식당이 부대찌개 간판 걸고 있는 오래된 식당입니다. 유래는 이미 많이 알고 계신 대로 6.25전쟁 이후 미군이 의정부 등 서울로 들어오는 주요 거점에 주둔하게 되고 여기서 흘러나온 햄, 소시지 등을 가져와 철판에 볶아먹던 요리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런데 볶다 보니 자꾸 타고 그래서 물을 부어 먹어보니 김치랑 곁들이니까 맛도 있고 아예 한꺼번에 김치 스팸 햄 등을 넣고 끓여 먹는것이 부대찌개(부대에서 나온 물자로)로 정착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