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납세자 입장에서 분리과세와 분류과세의 차이를 잘 모르겠습니다
종합과세 / 분리&분류과세의 차이는는 명확히 알겠습니다
분리/분류 과세는 "적은돈은 따로 계산하자 / 다년간 쌓아온 이익을 한번에 실현한걸 49.5% 때리는건 너무하다" 간단히 이런 개념이란것과 무엇이 어디에 해당하는가도 알겠습니다
그런데 납세자 입장에 분리, 분류과세가 어떻게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가령 종합과세를 이해하고 해외주식을 한다면 "소득이 아주 크다면 배당소득보다 양도소득이 세액 측면에서 이득이다"라는 전략을 취할 수 있는데 분리, 분류과세에서는 이런 부분이 보이지 않습니다
세금의 이념(?) 같은거 말고 실질적인 세액 산출 측면에서 분리과세와 분류과세의 차이가 있을까요? 아니면 둘을 구분할 필요가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세무회계 문>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1) 분류과세는 퇴직소득과 양도소득 밖에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두 소득은 금액이 크므로 종합소득세 신고시 합산과세되면 세율이 너무 높게되어 세금부담이 증가합니다.
2) 분리과세는 연 300만원 이하 기타소득, 연 2,000만원 이하 금융소득 등에 해당하며 이는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은 아니며 원천징수로 과세가 종결되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