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역사 중 3선개헌은 어떤 것을 말하나요?
한국 역사중에서 3선 개헌 전후를 한국 경제 개발의 일차적 시기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3선개헌은 어느 시기를 말하는 건가요?
우리나라 근현대사 중에서 3선개헌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선개헌은 1969년 박정희 정권이 정권 연장을 위해 대통령의 3선이 가능하도록 헌법을 개정한 대한민국의 6번째 헌법 개정으로 대통령의 3선 연임을 허용하는 개헌안이 9월 14일 국회에서 변칙통과, 10월 17일 국민투표에서 확정된 결과 박정희는 1971년 제 7대통령 선거에 또 출마, 당선되어 유신체제와 장기집권을 할수 있게 됩니다.
1962년 제 3공화국 헌법은 대통령의 임기를 4년으로 정하고, 1차에 한하여 중임할수있게 하고 있었으나 박정희는 1967년 제 6대 대통령으로 재선된 이후 곧 3선 개헌을 준비, 박정희의 3선 계획은 후계자로 유력시되던 김종필과 그를 지지하는 세력에 의해 집권 민주공화당 내에서 부터 반대에 부딪히게 됩니다.
그러자 박정희는 1968년 5월 국민복지회 사건과 1969년 4월 4.8 항명파동을 통해 공화당 내 반대세력을 제거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선개헌은 1969년 박정희 정권이 정권연장을 위하여 대통령의 3선이 가능하도록 헌법을 개정한 대한민국의 6번째 헌법 개정입니다. 대통령의 3선 연임을 허용하는 개헌안이 9월 14일에 국회에섲변칙 통과되고 10월 17일 국민투표에서 확정된 결과 박정희는 1971년 7대 대통령 선거에 또 출마하여 당선됨으로써 유신체제와 장기집권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박정희는 1967년 제6대 대통령으로 재선된 이후 곧 3선 개헌을 준비하였습니다. 그의 3선 개헌 계획은 후계자로 유력시되던 김종필과 그를 지지하는 세력에 의하여 집권 민주공화당 내에서부터 반대에 부딪혔습니다. 그러자 반대 세력을 제거 해 버리고 1969년 3선 개헌안을 통고 시켜 버립니다. 이 순간이 바로 아마 박정희 대통령이 독재자로 김재규에게 총을 맞는 결과로 이어지는 결과를 내게 만드는 촉매제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