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4.12

한 나라의 경제상태를 이해하려면 무엇을 보면 알 수 있나요?

지금 현재 우리나라 경제는 국민들이 느끼는 서민경제는

최악이 아닌가 생각을 합니다. 앞으로 나아질지는 불투명한 거 같은데

획기적인 정부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경제는 더 나빠질 거 같은데요.

개인적인 경제는 별로 좋지 않은데 나라경제를 들여다보려면

무엇을 보면 한눈에 파악이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나라 경제를 한눈에 알기 쉽게 들여다보고 싶으시군요.

    한 국가의 경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경제상태를 알려주는 주요 지표들이 있습니다.

    1. 경제 성장률:

    • 가장 기본적인 지표: 국가 전체의 경제 활동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전년 대비 GDP 증가율을 의미합니다. 경제 성장률이 높을수록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낮거나 음의인 경우 경제가 침체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실업률:

    • 고용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 일하고 싶은데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사람들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실업률이 낮을수록 고용 상황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며, 높을수록 고용 시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물가 상승률:

    • 소비자 물가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의 변화율을 의미합니다. 물가 상승률이 높을수록 생활비가 증가하고 국민들의 구매력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 경제 성장률, 실업률, 물가 상승률 외에도 다음과 같은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나라 경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무역수지: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로, 무역수지 흑자는 수출이 수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적자는 수입이 수출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재정수지: 정부의 세입과 지출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로, 재정수지 흑자는 정부가 세입보다 지출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고, 적자는 지출이 세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가계부채: 가계가 지닌 부채의 총액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가계부채가 많을수록 가계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소비지출: 가계가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사용하는 지출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소비지출이 증가하면 경제 활동이 활발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투자: 기업이 설비, 연구개발, 인력 등에 투자하는 금액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투자가 증가하면 미래 경제 성장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주식시장: 기업의 주가 변동을 통해 경제 전망에 대한 투자자들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가가 상승하면 경제 전망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하고, 하락하면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환율: 자국의 화폐가 다른 나라 화폐에 비해 얼마나 가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환율 변동은 수출입에 영향을 미치고, 경제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 나라의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경제지표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아야 합니다.

    1. GDP(국내총생산) 성장률

    GDP는 한 나라의 경제규모와 성장세를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플러스 성장률이면 경제가 성장중임을, 마이너스면 경기 후퇴를 의미합니다.

    2. 실업률

    실업률이 높으면 가계소득 감소,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강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3. 물가상승률

    물가가 너무 오르면 구매력 하락으로 소비위축이, 너무 내리면 디플레이션 우려가 있습니다.

    4. 경상수지/무역수지

    경상수지와 무역수지 흑자 여부는 한 나라의 대외 경쟁력을 가늠하는 지표입니다.

    5. 산업생산지수

    제조업 등 주요 산업의 생산활동 수준을 보여주는 지수로 경기 동향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6. 소비자신뢰지수

    미래 소득과 지출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를 보여주는 지수입니다.

    7. 가계부채 수준

    과도한 가계부채는 소비위축과 금융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부동산 가격동향, 기업실적, 투자심리지수 등 다양한 지표들을 보조적으로 활용하면 좀 더 입체적인 경제상황 파악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 성장률, 실업률, 고용률, 중고자동차 판매대수, 신규주택건설지수 등

    여러가지를 고려하여야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나라의 경제 상황을 보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인플레이션율 상승 현황 및 최근의 경제성장률 현황, 실업률 현황을 살펴보면 알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