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뽀로로
뽀로로23.09.12

플라스틱별로 내열성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플라스틱에도 종류가 여러가지 있다고 알고있는데 어떤 플라스틱은 뜨거운 물을 담으면 안되고 어떤건 80도~100도까지도 가능하다고 하는데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은 주로 고분자 물질로 만들어지며, 고분자는 여러 개의 작은 분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거대 분자입니다. 플라스틱의 종류는 고분자의 종류와 결합 방식에 따라 다양합니다.

    플라스틱의 내열온도는 고분자의 종류와 결합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내열온도가 높은 플라스틱은 고분자의 결합이 강하여 가열해도 쉽게 분해되지 않습니다. 반면, 내열온도가 낮은 플라스틱은 고분자의 결합이 약하여 가열하면 쉽게 분해됩니다.

    뜨거운 물을 담을 수 있는 플라스틱은 내열온도가 높은 플라스틱으로, 대표적인 종류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고분자의 결합이 강하여 가열해도 쉽게 분해되지 않으며, 뜨거운 물을 담아도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반면, 뜨거운 물을 담으면 안 되는 플라스틱은 내열온도가 낮은 플라스틱으로, 대표적인 종류로는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PE)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고분자의 결합이 약하여 가열하면 쉽게 분해되며, 뜨거운 물을 담아두면 변형이 일어나거나 용출물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할 때는 용기의 재질과 내열온도를 확인하여 뜨거운 물을 담아도 안전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2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은 다양한 종류와 성질을 가진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열성의 차이는 이러한 폴리머의 화학 구조, 분자 크기 및 결정도, 첨가제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다음은 플라스틱별로 내열성이 다른 이유에 대한 몇 가지 요인입니다:

    1. 화학 구조: 플라스틱의 화학적 구조는 내열성에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아크릴(Acrylic) 플라스틱은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 내열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폴리에스터(Polyester)는 에스터 결합을 가지며 일부 유형은 상당한 내열성을 갖습니다.

    2. 분자 크기 및 결정도: 플라스틱의 분자 크기와 결정도는 내열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분자가 크고 규칙적인 결정구조를 형성할수록 내열성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Polyamide)는 긴 선형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규칙적인 배열로 인해 높은 내열성을 갖습니다.


  • 안녕하세요.조사를 해본 결과 플라스틱은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물질로, 화학 구조에 따라 열에 대한 반응이 다릅니다.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등의 플라스틱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뜨거운 물을 담으면 변형이나 용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플라스틱은 뜨거운 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반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플라스틱은 열에 강하기 때문에 뜨거운 물을 담을 수 있습니다. PET는 80도, PMMA와 PC는 100도까지 견딜 수 있습니다.

    특히, PET는 내열성, 내수성, 내약품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식품용기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PMMA는 투명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리 대신 사용되기도 합니다. PC는 내충격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이나 컴퓨터 부품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할 때는 용기의 재질을 확인하여 뜨거운 물을 담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