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안과 이미지
안과건강상담
안과 이미지
안과건강상담
하얀파랑새30
하얀파랑새3024.04.22

미세한 안와골절은 엑스레이와 ct에 안 보일수 있나요??

나이
26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저는 3월 중순쯤에 눈 근처 내벽 쪽에 무거운 물체를 누워있을때 맞았는데 뭔가 눈썹 안쪽 뼈 부분에 곡선처럼 들어가는 부분이 엄청 아프면서 안으로 푹 들어간 느낌이 들더라구요. 제가 너무 아파서 맞을 당시에 맞은 부분의 뼈를 계속 지압하듯이 세게 누르고 있었는데 그 후로 병원에 가서 엑스레이와 ct를 찍었을때 골절소견도 없어서 달리기와 일상생활을 하고 있었거든요. 근데 그 후로 눈에 계속 이물감이 있고 눈 시야도 흐릿하고 눈도 계속 지금까지도 붓고 눈 안쪽 뼈 부분이 멍든거처럼 사라지지 않고 한쪽 눈만 계속 충혈이 되며 자고일어나면 그 쪽만 노란 결정같은 눈꼽이 껴요. 안과에 문제가 있나 싶어서 갔더니 녹내장 신경같이 이상하다 해서 검사도 했는데 녹내장은 아니지만 왼쪽만 눈 앞쪽 신경이 예민해져있다고 정기검사를 해야한다고 하더군요. 근데 제가 그 일이 바로 있기 전에 렌즈를 맞출때 검사한거는 양쪽 시력 -4.25 였는데 한 일주일 전에 검사를 해보니 -4.75와 -5.00가 나왔어요. 성인인데 이럴 수 있나요?? 질문이 많아서 너무 죄송한데... 안와골절이 미세하면 엑스레이와 ct에서 의사 선생님 따라서 발견 못할 수도 있나요..?? 만약 정말 미세골절이라면 안와 내벽뼈가 원래대로 붙을 수 있나요?? 수술을 해야한다면 안와 내벽골절에도 흡수성 재료로 사용해서 수술할 수 있는지 단점이 무엇이고 장점이 무엇인지도 알려주세요.. 미세골절이 아니라면 이 비정상적인 반응들이 왜 일어나는지 알려주세요 너무 답답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강한 외력에 의한 안와 내벽 손상이 의심되는 상황이네요. 안와 골절은 CT에서 발견되지 않을 정도로 미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상 증상과 이학적 검사가 진단에 중요합니다.

    지속되는 통증, 부종, 복시(눈 흐림), 안구 운동 제한 등은 안와 골절을 시사하는 증상들입니다. 안와 주위 감각 이상도 동반될 수 있죠.

    미세 골절의 경우 보존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지만, 심한 전위나 안구 함몰 등이 동반된 경우 수술적 교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흡수성 재료를 이용한 안와 성형술은 자가뼈 이식에 비해 공여부 합병증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느린 흡수, 불완전한 골 재생 등의 단점도 있습니다.

    다만 골절이 CT에서 명확하지 않고 시력 저하가 동반된 경우라면 외안근이나 시신경의 손상, 녹내장 등 다른 원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안과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하시고 필요하다면 안와 전문 병원에서 정밀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시력 저하와 복시 등 증상이 지속된다면 적극적인 검사와 치료가 필요할 것 같네요. 걱정이 많으시겠지만 꼭 필요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건강을 회복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무거운 물체에 맞은 후 눈 주변의 증상들이 지속되고 있고, 이전에 받은 검사들에서 뚜렷한 골절 소견이 없었다면, 상황이 다소 복잡해 보입니다. 먼저, 엑스레이와 CT 스캔은 보통 대부분의 골절을 잘 탐지할 수 있지만, 매우 미세한 골절이나 특정 각도에서만 보이는 골절은 놓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안와 골절은 복잡한 뼈 구조와 인접한 조직들로 인해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는 뼈의 이상을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 방법이지만, 모든 골절을 잡아내지는 못합니다. 특히 미세한 골절이나 뼈의 이탈이 적은 경우 간과될 수 있습니다.

    CT 스캔은 더 자세한 이미지를 제공하며, 뼈의 3차원적인 이미지를 통해 미세한 골절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간혹 매우 미세한 손상이나 특정 위치의 골절은 누락될 수 있습니다.

    안와 골절이 확실하다면, 치료는 손상의 정도와 위치, 관련 증상에 따라 달라집니다. 경미한 경우에는 수술 없이 자연 치유를 기다리는 것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더 심각한 골절이나 조직 손상이 있는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손상된 구조를 복원하고, 필요에 따라 흡수성 재료를 사용하여 뼈를 지지할 수 있습니다. 흡수성 재료의 장점은 추가적인 수술 없이 몸 안에서 자연스럽게 흡수되어 사라진다는 것이고, 단점은 때때로 빠른 흡수로 인해 원하는 만큼의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눈 부상 후 시력 변화는 신경 손상, 렌즈의 위치 변화, 또는 눈의 내부 압력 변화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과 의사는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정밀 검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