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에서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 있잖아요??
그런데 명왕성은 지구과학책에 과거에는 있던걸로 알았는데 요즘 책에 보니까 명왕성은 나오지 않더라고요 왜 지워진 걸까요??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과거에는 행성으로 분류되었지만 2006년에 국제천문연맹에서 새로운 정의를 발표하면서 행성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왜소행성으로 재분류되었습니다. 이는 명왕성의 크기와 주변을 돌고 있는 천체들의 수가 행성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태양계에서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라는 용어는 각 천체의 크기와 조성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은 천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명왕성 순서로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명왕성이 왜소행성으로 재분류되었지만 여전히 수금지화목토천해명에서는 9번째로 큰 천체로 남아있는 것입니다.
저희는 항상 새로운 발견과 연구를 통해 우주에 대한 지식을 더욱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따라서 과학적인 기준에 따라 천체들의 분류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1930년 클라이드 톰바우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당시에는 태양계의 9번째 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명왕성은 다른 행성들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명왕성의 크기는 지구의 약 1/5 크기이며
수성보다도 작습니다.
명왕성의 궤도는 다른 행성들의 궤도와
달리 타원형이며 태양계
밖으로 나가기도 합니다.
2006년 국제천문연맹은 행성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재정의했습니다.
태양 주위를 공전해야 합니다.
충분한 질량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자체 중력으로 구형을 만들어야 합니다.
궤도 주변을 깨끗하게 청소해야 합니다.
명왕성은 3번째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명왕성의 궤도에는 카이퍼 대상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천체들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명왕성은 행성에서 왜소행성으로 격하되었습니다.
왜소행성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태양 주위를 공전해야 합니다.
충분한 질량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자체 중력으로
구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
궤도 주변을 깨끗하게 청소하지 못했습니다.
명왕성은 행성은 아니지만 태양계 형성 과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천체입니다.
명왕성은 카이퍼 대상의 대표적인 천체이며
카이퍼 대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태양계의
초기 역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명왕성에 대한 분류는 과학계에서 변경되었습니다. 과거에는 명왕성이 태양계의 아홉 번째 행성으로 간주되었지만, 2006년에 국제천문학연맹에서 정의한 행성의 기준에 따라 명왕성은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고, "외계 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기존의 행성 정의에 따르면, 행성은 태양 주위에서 직접적으로 공전하면서 자체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는 천체로 정의되었습니다. 그러나 IAU는 2006년에 행성의 정의를 변경하여, 행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체적으로 형태를 유지하는 천체이면서, 주위를 "주변을 청소하는" 천체여야 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이 기준에 따라 명왕성은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태양계 행성에서 행성의 지위를 잃게 되었습니다
이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 한가지는 명왕성의 크기가 달의 2/3 밖에 되지 않아 퇴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