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24년 10월 현재 주담대를 받는다면 고정이율로 받아야 할까요 변동이율로 받아야할까요?
금리가 내려간다고는 하지만 체감이 전혀 안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문턱도 높여서 그런지 대출이 잘 나올까 걱정이기도 하구요
금리인하한다고는 하지만 자금여력이 부족할까봐 걱정입니다.
다행히 대출이 나온다고 가정했을때 지금은 고정이율로 가야할까요 변동이율로 가야할까요
내려가는 추세니 변동이율이 더 이로울까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내려가는 추세가 이어진다면 당연히 변동 금리를 생각해 볼 수가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그래야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답은 없는 문제이나
개인적으로는 앞으로는 금리인하 가능성이 더 크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대출 규제로 대출금리가
떨어지지 않을 수도 있기에 이에 따라서
본인이 결정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대출을 고려할 때 고정이율과 변동이율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는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최근 금리 인하 전망이 있지만, 실제 체감할 수 있는 금리 하락은 시간이 걸릴 수 있고, 경제 상황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변동이율은 금리 하락 시 이점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금리가 다시 상승할 경우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리스크가 있습니다.
만약 안정적인 자금 관리를 원한다면 고정이율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고정이율을 선택하면 금리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상환 금액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금리가 급격히 변동할 때에도 대출 상환에 대한 예측이 용이합니다. 이는 특히 장기적인 금리 상승 가능성이 염려된다면 안전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을 더 확신한다면 변동이율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변동이율을 선택하면 금리 하락에 따라 월 상환액이 줄어드는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다만, 금리 변동성을 감안해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리스크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참 어려운 질문이긴한데요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계속 변하고 주담대는 장기간 대출이니 안전하게 갈라면 변동금리가 맞긴할거 같습니다 그래도 만약에 고정금리로 3프로대 주담대가 가능하다면 저는 고정금리로 갈거 같구요
고정금리가 4프로 초반이라면 고민을 좀 해보고 고정으로 갈지 변동으로 갈지 자금사정고려해서 결정을 할거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