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파상풍 주사 궁금한게 있습니다
제가 11일 전에 코털 가위로 체모를 잘르다가 잘못 잘라가지고 상처가 나서 소독솜으로 상처 부위를 소독하고 후시딘인가 이 연고를 발랐는데요 오늘 상처가 난 곳에 통증이 있어서 월요일에 파상풍 주사를 맞을려고 하는데 혹시 파상풍 증상이 시작되고 나서 주사를 맞으면 많이 늦은건가요?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파상풍은 상처 부위를 통해 파상풍균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감염 질환입니다. 잠복기는 보통 3일에서 3주 정도이며, 증상이 나타난 후에는 치료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상처 부위의 통증은 파상풍의 초기 증상일 수도 있지만, 단순한 염증 반응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현재 통증이 있다면 월요일에 병원을 방문하여 파상풍 예방 주사를 맞는 것이 좋습니다. 파상풍 예방 주사는 파상풍균에 대한 항체를 형성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의사에게 상처 부위의 상태를 진찰받고 파상풍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우선 "코털 가위로 체모를 잘르다가 잘못 잘라가지고 상처" 이 경우 파상풍의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상풍주사를 맞으시고 싶다는 것이지요?
파상풍 증상이 없어도 맞을 수 있으며 있어도 맞을 수 있습니다.
백신을 맞는 경우도 있고 즉각적인 효과를 위하여 면역글로불린 immunoglobulin 을 맞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이전에 파상풍 증상이 있는데(상처 부위 근육 경련, 턱을 벌리지 못하는 개구장애 등) 주말을 보내고
월요일에 주사를 맞으려고 하시는 것이라면 그러시면 안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을 꼼꼼히 읽어보았습니다.
질문자분께서 11일 전에 코털 가위로 체모를 자르다가 상처가 난 상황이셨군요. 상처 부위에 소독과 연고를 발랐다고 하셨는데, 지금 통증이 있어 걱정이 되시는 것 같습니다. 파상풍은 주로 흙이나 먼지, 동물의 배설물에 있는 세균에 의해서 감염됩니다. 따라서 금속 도구로 인한 상처로 파상풍이 발생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예방법으로 주사를 맞는 게 안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파상풍 백신은 상처 후 최대한 빨리 맞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상처 발생 후 적절하게 응급처치를 하셨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있다면, 병원을 방문해 주사를 맞는 것이 좋습니다. 주사를 통해 파상풍의 예방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주사가 가장 이상적으로 효과를 발휘하는 시기는 상처 후 24시간 이내입니다. 그러나, 아직 증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이라면 주사를 맞아 빠르게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통증이 지속되고 있다면 혹시 모를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병원에 방문하셔서 자세한 상담과 처치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른 시일 내에 병원에 가셔서 주사를 맞고 상처 관리를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파상풍 증상이 시작되면 이미 늦은 상태로 파상풍 주사를 맞은 지 10년이상 지났으며 파상풍에 걸릴 위험성이 높을 경우 즉시 면역글로불린과 예방접종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말씀하신 상황처럼 상처가 생기고 10일 이상 지난 뒤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파상풍 감염에 대한 걱정이 드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파상풍은 상처 후 3일~21일 사이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보통 7~10일 경에 가장 흔하게 발병합니다. 주요 증상은 턱이 뻣뻣해지는 증상(개구 장애), 근육 경련, 발열 없이 전신적인 경직 등이 있는데, 단순히 상처 부위의 통증만으로는 파상풍인지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파상풍 예방접종은 증상이 발생하기 전 예방 목적으로 맞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증상이 시작된 이후에 맞는 백신은 예방이 아닌 치료의 목적과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에 의미가 줄어듭니다. 이미 증상이 시작되었다면 백신이 아닌 항파상풍 면역글로불린(TIG) 투여와 함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어요.
다만, 현재 증상이 파상풍인지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고 예방접종이 필요한지 판단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사를 맞는 것 자체는 늦었다고 단정 지을 수 없으며, 증상이 없다면 여전히 접종을 통해 향후 감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