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의 효능도 강중약이 있나요?
부군이 요 몇일 목이 너무 아프고 팔까지 저리다고 신경과 진료를 받으러갔습니다.
기존에 정형외과에서 근육이완제와 소염제를 처방 받아 먹었는데 그닥 효과가 없었나봐요.
도수 치료와 병행해서 치료를 받아보라고 권유를 받고
일단 통증을 줄이고 싶어 약 처방을 원했더니 세게~ 지어 달라고 하라는데 약의 효능도 강중약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경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약의 강도를 표시할때는
Potency(효력)
Efficacy(효능)
두 가지를 사용합니다.
효력이란 특정 강도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약물의 용량을 의미합니다.
동일한 진통효과를 내는데 A약물이 5mg , B약물이 10mg 필요하다면 A약물의 효력이 더 큽니다.
효능이란 약물작용에 의해 얻어지는 약효의 크기입니다 보통 약의 강도를 비교할때는 효능을 비교하면 됩니다.
소염진통제를 말씀하셔서 우리가 흔히쓰는 소염진통제들의 효능비교한 그림을 링크합니다.
이 자료에서 파란동그라미가 오른쪽에 있을수록
더 강한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작정 센것을 드실필요는 없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적당한 강도의 약을 드셔야합니다.
일반적으로 강도가 세면 부작용도 큽니다.
마약성진통제는 너무강해서 왠만한 고통을 다 잡아주지만 근육통에 쓰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현보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진통제의 세기를 말씀하는 것 같네요. 네 있습니다.
성분마다 진통의 세기가 다르고, 또 같은 성분내에서도 용량에 따라 세기가 다르다고 보시면 돼요.
예를 들면 마약성진통제는 일반 진통제보다 더 센 강도의 진통효과를 가지고 있고 마약성 진통제 내에서도 아주강한게 있고 마일드한게 있고 그래요.
일반진통제 안에서도 성분마다 좀 쎈게 있고 약한게 있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소염진통을 나타내는 약물에 약한 것과 진통효과를 강하게 나타내는 약물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염증과 통증의 정도에 따라 처방의가 판단하게 약물을 처방하게 되며, 강한 소염진통제 일수록 위장장애가 심하거나 울렁거림이 있을 수 있기에 반드시 식후 복용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경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반인들이 느끼기에 한두번 먹고 좋아지면 약이센가? 라는 느낌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하지만 병증에 따라서 통증을 감소시키는 약들이
다를수 있습니다
통증을 감소시키는 진통제들의 성분이 여러종류이므로 증상에 맞지 않을경우 효과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한번 처방받은약은 기본 3일정도는 드셔보시고 그래도 효과를 못보신경우엔 병원에 내방하셔서 선생님께 상담해보시는것을 권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손경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약도 강~약의 세기가 있어요.
진통제의 경우는 약효가 오래 지속되도록 유지시켜줘서 강하게 작용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게 하는 방법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진통제를 병용하거나 마약성 진통제(중독성 없는)를 같이 처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 진통제로 통증이 잡히지 않으면 통증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약(주로 항경련제), 모르핀 같은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진통소염제(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들은 2배의 용량을 복용해도 약효가 2배로 나타나지 않는 특징이 있어서, 단순하게 용량을 늘려서 세기를 조절할 수 없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민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통증을 줄이는 약의 경우, 증상에 따라 용량 조절 혹은 성분 조절을 할 수 있습니다.
용량을 늘리게 되면 진통효과가 강해질 것이고,
성분 조절을 통해 반감기가 긴 약 혹은 체내 흡수가 빠른약 등으로 교체시 진통효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다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진통제의 종류는 다양하고, 증상이나 아픈 부위, 아픈 정도에 따라 용도에 맞게 처방되고 있습니다.
약을 강하게 지어달라고 하실 경우 더 강한 진통제를 처방해주시거나 진통제 두세가지를 한번에 처방해주실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드시는 진통제의 강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 탁센(나프록센)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진통제의 경우 종류에 따라 효과가 조금 더 강한약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서 처방하는 진통제중 가장 강한약으로
울트라셋류의 약입니다.
효과가 강한대신 위장장애(울렁거림)등의 부작용이 있는 분들도 있습니다.
모두가 그런것은 아니고 연세가 있으신 위장운동이 약해지신분들이 그렇고,
젊은사람중에도 위가 약한 사람들이 그렇습니다.
병원에서 어떤 약을 처방받았는지는 모르겠지만,
복용후 효과가 있다면 증상이 있을때마다 꾸준히 복용하는걸 추천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병도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부군이 요 몇일 목이 너무 아프고 팔까지 저리다고 신경과 진료를 받으러갔습니다.
기존에 정형외과에서 근육이완제와 소염제를 처방 받아 먹었는데 그닥 효과가 없었나봐요.
도수 치료와 병행해서 치료를 받아보라고 권유를 받고
일단 통증을 줄이고 싶어 약 처방을 원했더니 세게~ 지어 달라고 하라는데
<<-- 약의 효능도 강중약이 있어요
아래 그림은 진통제 세기 비교표입니다
안녕하세요 답변드리겠습니다!
네! 효능에 강중약이 있습니다.
일단 성분에 따라서도 효능이 다르고 같은 성분일지라도 용량에 따라 효능이 다릅니다 용량이 클수록 효능은 더 큽니다.
통증을 줄이기 위해 세게 지어달라고 하셨다면, 소염진통제 성분의 용량을 높였거나 다른 성분의 진통제로 바뀌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보통 약을 세게 지어달라고 하시는 분들의 마음은
아무래도 부작용을 감안하더라도 현재의 증상을 빠르게 고치고 싶은 마음이실 겁니다
다른 계열의 약을 절대적으로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아무래도 스테로이드, 항생제 등의
약들이 포함되면 조금 세게 지어졌다고 말씀드리고는 합니다
같은 성분에서 용량이 다른 것은 강약을 비교할 수 있겠지만
(예를들어 가바펜틴100mg vs 300mg는 300mg가 더 쎄겠죠)
다른 계열의 약은 사실상 강약 비교가 힘듭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진성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Q. 부군이 요 몇일 목이 너무 아프고 팔까지 저리다고 신경과 진료를 받으러갔습니다.
기존에 정형외과에서 근육이완제와 소염제를 처방 받아 먹었는데 그닥 효과가 없었나봐요.
도수 치료와 병행해서 치료를 받아보라고 권유를 받고
일단 통증을 줄이고 싶어 약 처방을 원했더니 세게~ 지어 달라고 하라는데 약의 효능도 강중약이 있는건가요?
A. 예 진통제의 경우에도 조금 더 강한 진통제와 약한 진통제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