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30

참새들은 왜 전깃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다고 들었는데 그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전깃줄에는 고압의 전기가 흐른다고 알고 있는데 참새들은 전깃줄에 앉아도 감전이 되는 모습을 한 번도 보지 못했어요. 어떻게 해서 전깃줄에 앉아도 새는 감전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인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몸에 전류가 흘러서 전기적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감전이라고 합니다. 전류가 흐르려면 두 부위 사이에 전위차가 생겨야 흐를 수 있습니다. 참새가 고압선에 두발로 앉아 있을 때 두 다리 사이의 전선과 새의 몸통이 서로 병렬 구조가 되고, 두 다리 사이의 전선에는 전위차가 0이 되어 굳이 전기가 참새의 몸으로 흐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감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에 참새가 전기줄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잠시 전봇대에 기대면 즉시 감전될 수 있습니다. Zzzz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2.10.30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압선에 참새가 앉으면 참새의 발과 전선은 서로 병렬연결 됩니다. 이 때 두발과 전선 사이의 저항이 0이 돼 전위차도 0이 됩니다. 병렬회로에서 따로 나누어진 회로들은 전위차가 모두 같기 때문에 참새와 전선 사이의 전위차도 0이 되는 원리입니다


  • 참새의 저항이 전깃줄의 저항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참새의 두 다리가 전깃줄에 앉게 되면 병렬 연결이 형성됩니다.

    병렬 연결에서는 저항이 작은 쪽으로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됩니다.

    사실상 전깃줄의 저항이 0이기 때문에 참새는 감전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깃줄 두 줄 사이로 참새가 앉게 되면 직렬 연결이므로 참새도 감전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