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주가 급락과 홍콩은행이익은 어떤 연관성이 있나요?
어제 경제기사에서
작년 홍콩 증시는 폭락인 반면에
홍콩의 은행들은 이익이 62%가 늘었다고 하더군요
증시와 은행의 이익은 원래 반비례관계인가요?
주가가 급락한 것이
홍콩은행에는 어떤 이점을 가지게 하여
이익이 62%가 늘어난 것인가요?
주가와 은행은 경제적으로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홍콩은행의 상승은 2019년도 0.6%, 2020년도 29.4%, 2021년도 19.8%가 감소하였다 보니 최저점을 찍었고 이후 낙폭이 크다 보니 전년대비 큰 상승을 이루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던 것인데, 이러한 은행의 수익성 개선은 증시의 불황때문이라고 볼 수 있어요. 증시가 불황이되자 사람들의 자금이 예금으로 몰렸고 홍콩 금리는 요지부동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예대마진이 커지게 되면서 은행의 수익성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증시로 갈 돈이 은행에 묶이면서 미국과 연동되는 홍콩 금리는 높은 수준을 유지한 혜택을 입은 것입니다.
홍콩 은행이 높은 금리를 바탕으로 예대마진이 커지면서 은행의 수익성은 큰 폭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가급락과 시장 펀더멘털 악화를 지적받고 있는 홍콩에서 시중은행들의 실적은 대폭 개선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미국 연동 금리 높이 유지되는 가운데 증시 침체로 예금에 자금이 몰려서입니다.
홍콩 은행들의 실적 개선은 역설적으로 이 증시 불황과 함께 찾아왔습니다. 증시로 갈 돈이 은행에 묶인 가운데 미국과 연동되는 홍콩 금리는 요지부동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예대마진(예금이자와 대출금리 격차)이 커지면서 은행의 수익성은 큰 폭으로 개선됐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홍콩과 같은 경우에는 증시가 불황이 있자
홍콩 은행의 이자율이 높은 수준이었기에 은행으로 자금이 몰리는 등
예대마진차가 커져서 은행의 수익성이 좋아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홍콩 주가의 급락과 홍콩 은행의 이익 증가 사이의 관계는 복잡하며, 여러 요인이 상호 작용하여 이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금리와 대출: 금리가 높아지면, 은행의 이자 수익은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주가가 급락하면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수익을 찾기 위해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은행의 예금이 증가하고, 이를 다시 대출로 전환하여 더 높은 이자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경제 상황: 주가의 급락은 경제 상황의 악화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은행은 대출의 이자율을 높여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경제가 불안정할 때, 사람들은 안정적인 수익을 찾기 위해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 비이자 수익: 은행은 이자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러한 비이자 수익은 주가의 변동에 덜 민감하므로, 주가가 급락하는 동안에도 은행의 총 수익을 늘릴 수 있습니다.
- 금융 상품: 은행은 다양한 금융 상품을 판매하여 수익을 얻습니다. 주가가 급락하면, 일부 금융 상품 (예: 옵션, 선물 등)은 더 높은 수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모두 주가의 급락과 은행의 이익 증가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복잡한 경제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므로, 특정 상황에서 어떤 요인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는 명확히 알기 어렵습니다. 각각의 경우에 따라 다른 요인들이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