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녹일 때 뿌리른 염화칼륨이 어떠한 작용으로 눈을 녹이는지 궁금합니다.
가을이 지나고 벌써 겨울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고지대에 살고 언덕에 사시는 분들은 겨울철 눈 때문에 곤욕을 치르는데요.
그럴 때마다 고마운 염화칼륨이 있어 너무 다행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염화칼륨은 어떻게 하여 눈을 녹이는지 눈 녹이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철에 염화칼륨이 눈을 녹이는 원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눈이 녹는 원리는 염화칼륨이 눈의 녹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인데요. 염화칼륨은 눈 위에 뿌려지면 눈의 온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눈은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온도가 높아지면 녹아버리는 거예요. 그래서 염화칼륨이 눈 위에 뿌려지면 눈의 온도가 높아져서 녹아버리는 거죠.
하지만 이 과정에서 염화칼륨은 눈의 온도를 높이는 것 외에도 눈의 무게를 줄여주는 역할도 하는데요. 눈은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무겁고 단단해요. 그래서 눈이 많이 쌓이면 언덕이나 고지대에서는 이동하기가 어려워요. 하지만 염화칼륨이 눈을 녹이면서 눈의 무게를 줄여주기 때문에 이동하기가 더 쉬워지는 거죠.
그리고 염화칼륨은 눈을 녹이는 것 외에도 눈이 얼어붙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눈이 얼어붙으면 더 이상 녹지 않기 때문에 염화칼륨이 눈 위에 뿌려져 있으면 눈이 얼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요.
이렇게 염화칼륨은 눈을 녹이는 것 외에도 눈의 온도를 높이고 무게를 줄이며 얼어붙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해서 겨울철에 많이 사용되는 거예요. 그리고 염화칼륨은 눈을 녹인 뒤에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살포제에도 사용되는 거죠.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염화칼륨을 물에 녹이게 되면 어는 점이 낮아지기 때문에 0도가 아닌 더 낮은 온도에서 얼게 됩니다 즉 얼어 있는 빙판길에 염화칼륨을 뿌리게 되면 물과 결합해서 어는 점이 낮아지게 되고 이것은 마치 얼음이 녹는 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염화칼륨은 물에 녹으면서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 열이 눈을 녹게 합니다 또한 염화칼륨은 물의 어는 점을 내려 눈이 잘얼지 않게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녹는점 낮추기: 염화칼륨은 녹는점이 낮은 물질입니다. 눈이 얼어있는 상태에서 염화칼륨을 뿌리면, 염화칼륨이 얼음과 상호작용하여 녹는점을 낮춥니다. 이로 인해 주위의 열에 의해 얼음이 빠르게 녹아 물로 변하게 됩니다.
2. 용매 효과: 염화칼륨은 물에 완전히 용해되어 이온을 형성합니다. 이렇게 형성된 이온은 주변의 얼음과 상호작용하여 녹는 과정을 가속시킵니다. 이는 염화칼륨 용액이 얼음과 더 빠르게 상호작용하여 얼음을 해체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염화칼슘은 대표적인 흡습제이기도한데, 물을 빨아들이면서 열을냅니다.
나오는열에의해 주변 얼음과 눈이 녹고, 그 녹은물을 다시흡수하여 열을내며 이 현상이 가속화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