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기사 자격증을 따기 위해서는 전기 관련 학과를 나오는게 유리하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전기 관련 학과를 나오는게 많이 유리한가요? 아니면 일반인도 공부하게 되면 자격증 취득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기사 자격증 준비에 있어 전기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은 물론 유리한 점이 있지만, 필수는 아닙니다. 관련 학과를 나오는 경우 기초 이론과 실습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어 시험 준비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일반인도 충분히 학습과 노력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온라인 강의나 교재가 잘 마련되어 있어 독학으로도 준비 가능합니다. 꾸준한 공부와 실습이 중요하니 계획을 잘 세워 도전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사 자격증은 응시 자격이 좀 까다롭습니다.
관련 학과 4년제 대학을 졸업하거나, 졸업 예정이거나, 산업기사 자격증 취득 후 일정 기간 경력을 쌓으셔야 합니다.
만약 비전공자, 일반인 분이시라면 응시 자격을 맞추기 위해 기능사나 산업기사 자격증을 우선적으로 취득하셔야 합니다.
또한 전기학과 학생들은 아무래도 3~4년동안 기사 자격증과 유사한 내용을 공부하기 때문에 자격증 취득에 유리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기사 과목은 딱딱하고 재미없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더욱더 어렵게 느끼며 공부하기 힘들어 하기도 합니다.
전기관련학과 나왔다면 공부하는데 이해는 더 잘 되고 학과에서 배운과목도 있기 때문에 수월합니다.
전기관련학과 학사 학위가 있다면 전기기사 응시자격 가능하기 때문에 유리합니다.
하지만 자격증은 학과공부하고 조금은 다르기 때문에 일반인도 준비를 잘 한다면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단, 전기기사의 경우 응시자격조건이 있기때문에 확인해보고 준비하셔서 도전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