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만리경
만리경23.12.13

임신 했을 때 몇 개월까지 안정을 취해야 하나요?

초기 임신했을 때 임산부는 움직임에 매우 조심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초기 임신의 경우 몇 개월까지 안정을 취해야 아이가 착상을 잘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임신 12주차 까지는 태아의 기관이 형성되는 시기라서

    임산부가 활동하기에 안전한 시기는 임신12주 이후로 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4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임신의 1차 안정기는 보통 임신후 8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태교여행이나 비행기를 타는 시기는 12주 부터 28주까지 말하고 있습니다. 임신 초기에는 유산 입덧 피로감 등 증상으로 안정 휴식을 취하는게 좋은데 안정기가 되면 언제 그랬냐는듯 컨디션이 확 좋아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임신초기 즉 3개월까지는 조심해주셔야 애가 떨어지지 않으니 과격한 운동은 삼가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임신 전반부에 안정을 취하는것이 좋을수있으며 최소 12주정도까지는 어느정도 더 신경쓰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임신 안정기는 산모마다 조금씩 다를수 있습니다.

    보통은 태반이 형성되는 임신 초기 16주까지는 안정을 취하시는 것이

    필수입니다. 그리고 임신 말기에도 조심해야 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임신 초기인 1주차부터 12주차까지는

    조심하셔야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임산부는 태동이 느껴지는 5개월

    임신 16주 부터는 안정기입니다.

    심한 운동과, 굽 눕은 신발은 신지 않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임산부마다 다를 것입니다

    이삼개월 정도 조심을 하면 될 것 같지만, 의사 선생님과 항상 상담을 하고, 신체 활동량을 늘려야 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최초 5주까지는 절대안정이 필요하며 이후 12주 까지도 무리한 운동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격한 운동 및 과식 절대 금지하시고 가벼운 산책등으로 컨디션 조절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임신초기는 14주까지로볼수있기에 14주정도까지는 안정을취하도록하는것이좋을수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임신초기기간이 끝나고 4개월 시점인 12주부터 보통은 산모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고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