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든든한풍금조126
든든한풍금조12621.04.06

암호화화폐와 CBDC의 차이는??

암호화화폐 붐이 불고있는 지금 중국을 필두로 CBDC를 발행하겠다는 국가가 늘고있습니다.

암호화화폐의 기본적인 개념 분산원장으로 중앙집권이 아닌 화폐를 의미한다고 하는데 CBDC는 어쨌든 정부나 중앙은행이 발행을 하는거고 결국 관리도 하게 될텐데 이렇게 되면 그저 종이화폐를 디지털화폐로 변화만 하는 개념이 아닌가요??사실 요즘도 종이화폐보다는 휴대폰속 은행 어플에 찍혀있는 숫자가 곧 내 돈인데 CBDC를 발행한다고 해서 뭐가 달라지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설명좀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를 말합니다. 통화를 표시하는 수단의 차이일 뿐 현금과 동등한 위치를 가지고 중앙은행의 통제를 받는다는 점에서 탈중앙화를 표방하는 암호화폐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중앙은행의 통제를 받음으로써 정부에서 자금의 출처나 흐름 같은 것을 파악하여 세금부과나 불법적인 사용을 적발하기에 용이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지식답변자 다라닝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말씀하신것처럼 CBDC는 종이화폐를 디지털화한 개념이 맞습니다.

    쉽게보면 화폐의 디지털화인 셈이고

    가상자산과의 차이점은 민간이냐 국가냐, 중앙이냐 탈중앙이냐가 핵심입니다.

    CBDC처럼 디지털로 화폐가 전환되면

    디지털상에서 더 많은 폭으로 사용될수 있으며

    매년 화폐를 만들고 유지보수되는 비용의 절감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인 문의가 필요하시면 답변 부탁드려요!


  •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와 암호화 화폐는 목적이 다른 경우가 많지 않을까 합니다.

    비트코인은 하나의 디지털 금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CBDC는 말그대로 디지털화폐인데 화폐와 금은 가격이 정해지기는 하지만 용도가 다르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또한 이더리움의 경우 화폐라기보다는 해당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사용료로 보면 CBDC랑은 다르지 않을까 합니다.


  • 안녕하세요. A-HA 블록체인 전문가입니다.

    현재는 코인의 시세가 실시간으로 변하고, 관리 주체가 없기 때문에 불법적인 일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등의 단점으로 화폐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향 후 실시되는 금투법을 비롯해 규제의 테두리 안으로 들어오게끔 법안을 상정하고 있으며, 국가 발행의 CBDC까지 발행된다면 앞으로 화폐를 대체해 충분히 실생활에 사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점점 정착화 되면서 코인의 미래는 밝아질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수많은 코인들이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디지털화폐와 암호화폐에 대하여 개인의견 드리겠습니다.

    ▣ 암호화폐(Crypto Currency)

    블록체인 기반으로 활용되는 가상의 화폐를 말합니다. 암호화폐는 보상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화폐로 가치에 따라 시세가 변하는 유동성의 화폐를 말합니다.

    ▣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실물화폐를 대체하는 가상의 화폐로 중앙은행에서 블록체인 기반으로 발행되는 디지털 화폐를 말합니다. 기존 실물화폐 대비 투명한 자금 운영과 실물화폐 발행 및 관리에 필요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위에서 설명 드린바와 같이 디지털화폐(CBDC)는 실물화폐를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암호화폐는 특정 액션 및 역할에 대한 보상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또한 현재시점상 퍼블릭 블록체인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실물화폐 및 CBDC로 대체하기 어려운게 사실입니다. 때문에 따라서 두 화폐의 근본적인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디지털화폐가 보편화된다 하더라도 암호화폐와는 별개로 활용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오히려 실물없는 화폐(무형의 자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 대표직으로 CBDC운영에 관심이 큰 국가로는 중국이 있으면 우리나라도 CDBC 발행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