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2.05

ELS와 DLS의 차이점은 뭔가요?

현재 금융시장에는 여러 파생상품 유형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ELS와 DLS는 여러 기초자산에 연동하여 투자하는데 어떠한 차이점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LS는 주가연계증권으로 통상 투자금의 대부분을 채권투자 등으로 원금보장이 가능하도록 설정한 후 나머지 소액으로 코스피 200 같은 주가지수(주로 코스피200)나 개별종목에 투자하며 DLS는 이자율•환율•실물자산•원자재•날씨•파산발생 여부 등 다양한 기초자산 가격에 투자해, 기초자산의 가격이 특정 범위 내에서만 움직이면 약정된 수익을 얻는 상품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LS, DLS(주가연계증권, 파생결합증권)는 모두 '구조화 증권'인데, 이자추출전략이라는 전략에 의거하여 구성, 운용되는 파생결합증권으로 사실상 옵션 매도에 따른 '프리미엄'을 약간 받는대신, 기초자산이 특정 가격 이상 떨어지게 되면 -100%까지도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비대칭 보상 & 손실형 구조'로 금융소비자에게 유리하지 않습니다. 이 중에서 특히 DLS를 묶어둔 DLF(파생결합펀드)가 2019년 소위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많이 팔려나갔는데, 독일 국채 금리 등이 급락하면서 손실이 발생했던 적이 있었고 당시 시중은행 중 DLF를 판매했던 곳이 사회적으로 큰 지탄을 받기도 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큰틀에서는 비슷한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 하지만 내부를 들여다보면 ELS의 경우는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고

      DLS는 현물자산 까지 결합 상품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LS와 DLS는 모두 만기까지의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 시 원금을 상환하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제가알기로 ELS는 주로 주식이나 채권 등과 연계된 상품입니다. 반면 DLS는 주로 외환이나 원자재 등과 연계된 상품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LS와 DLS는 파생상품의 유형 중 일부입니다. ELS는 주식과 관련된 기초자산에 연동하여 수익을 얻으려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DLS는 채권과 관련된 기초자산에 연동되어 수익을 추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ls는 파생결합증권으로 이자율이나 통화,원유등에 연관되어 수익이 나오는구조이며, ELS는 개별주식의 가격이나 혹은 지수에 연계되어 상환조건에 따라서 수익이 결정되는 주가연게증권에 해당해요. ELS는 자유롭게 매매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일정 규모의 금액이 모집되면 상품가입이 끝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LS :특정 주식 또는 다수 주식의 가격이나 주가지수 수치의 변동에 따라 지급 이익이 결정되는 증권을 말합니다

    DLS: 이자율, 통화(환율), 실물자산(금, 원유 등), 신용위험(기업 신용등급의 변동,파산 등)등의 변동과 연계하여 미리 정하여진 방법에 따라 이익이 결정되는 증권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ELS와 DLS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ELS는 주가연계증권이으로 코스닥이나 나스닥 등의 주가 지수에 연결되고

    DLS는 파생결합증권으로 이자율, 통화, 실물자산 혹은 금리에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