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포크는 어떤 이유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예전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의 하드포크와 이더리움 하드포크는 발생했던 이유가 달랐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경우는 채굴자들의 의견 불합치로 발생했고 이더리움은 속도와 채굴 감소 등을 위해 발생한 걸로 아는데, 이외에도 하드포크를 진행하는 다른 이유가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DannyKim입니다.
하드포크를 진행하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수 있지만 아래와 같은 목적이 있습니다.
기존 블록체인 기술의 결함, 오류 를 제거 또는 수정하기 위해서 (EX) 이더리움클래식->이더리움
기존 적용된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확장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새로운 생태계 확장을 위해서(기존 블록체인을 떠나서, 새로운 참여자들을 모집하여 다른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성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을 조금이라도 공부해봤다면 ‘하드포크(Hard fork)’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실제로 이더리움은 DAO 해킹 사건으로 인해 하드포크를 실행했습니다. 물론 한국에서도 이더리움와 이더리움클래식의 사용자들은 하드 포크로 인해 출금이 일시적으로 정지당하는 사태를 겪기도 했습니다.
하드포크를 말하자면 꼭 따라오는 개념이 있는데요. 바로 하드포크와 상충되는 소프트 포크(Soft fork)라는 개념입니다. 두 개념의 차이를 정확히 인지한다면 하드포크를 더욱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과 같이 암호화폐의 소스가 공개된 상태에서 두 가지 개념이 어떤 차이를 가지고 각각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봅시다.
이를 위해서는 꼭 집고 넘어가야 할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블록체인(Blockchain) 인데요. 간단하게 설명을 한다면, 가상화폐에서 블록체인을 이용해 거래를 하게 되면 사용자간의 거래 기록이 블록에 저장이 됩니다. 즉, 블록은 모든 거래가 저장되는 공공 장부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용자 간의 거래가 완료되면 발행되는 순서에 따라서 블록에 저장이 됩니다. 그리고 그러한 블록들이 마치 체인처럼 연결되어 진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 블록체인입니다. 만일 이렇게 연결되어진 블록체인에 누군가 블록 중간에서 변형을 하려거나 해킹을 시도한다면 그 뒤에 연결된 보든 블록들 또한 전부 변형을 해야하기 때문에 사실상 해킹은 매우 어렵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때문에 블록체인의 안전성이 높은 신뢰를 얻고 있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