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요즘 어수선한데 언제쯤 경기가 회복되고 전체적으로 사회분위기가 좋아질지 아니면 계속 나빠질지 파도처럼 안좋은 순간이 있으면 좋은 순간도 있나요?
우리나라 요즘 어수선한데 언제쯤 경기가 회복되고 전체적으로 사회분위기가 좋아질지 아니면 계속 나빠질지 파도처럼 안좋은 순간이 있으면 좋은 순간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가 매년 안 좋은건 아닙니다 경기순환 사이클도 있고 해서 그래도 내년에는 올해보다는 좋을거라는 예상이 지배적입니다 사람이 살다보면 안 좋은 일도 있지만 매번 안 좋은 일만 생기는거도 아닌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생 열심히 살다보면 좋은 날도 있긴 하니까요!! 그럼 오늘도 꼭!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이미 내수경기는 재작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중이며 이는 결국 국내의 대기업이나 주요그룹사들의 투자가 지속감소하고 있고 그러면서 지역기반이 무너지면서 인건비는 올라가면서 청년실업율은 최대로 증가하고 있는게 문제입니다 그러면서 실업률은 높지 않으나 비경제활동인구가 크게 증가하는게 문제인 상황이며 특히 건설투자는 지방중심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것도 이런 내수부진과 투자부진의 원인입니다.
그러면서 절대적으로 높아진 금리로 국내 기업에서 40%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커버를 못하는 중소기업이 대다수 이고 그러면서 국내의 산업생태계가 무너지고 균열이 가는것도 문제입니다 결국 우리나라의 내수소비가 이제 돌아선것도 결국 정부의 재정으로 돌아선것이며 결국 국내의 직접투자가 늘고 첨단산업기반이 살아 날 수 있도록 정부의 재정이 효과적으로 투자재원을 사용하여 지원금이나 투자세액공제를 적절히하여 국내의 이런 제조기반과 첨단사업투자가 늘어나서 고용이 늘고 지역산업이 활성화되어서 내수도 같이 날 수 있는 기반이 된다고 보입니다.
결국 정부의 예산이 중요하며 이부분으로 인하여 내년도에는 조금 살아날 수는 있겠으나 이게 단기적이라고 한다면 임시방편으로 다시금 내수는 안좋아질가능성도 높아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 흐름이라는 게 늘 직선으로 오르내리는 게 아니라 파도처럼 들쭉날쭉하다고들 합니다. 요즘처럼 사회가 어수선하면 더 크게 흔들리는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고요. 경제 지표만 보면 소비나 수출이 조금씩 회복되는 조짐은 보인다고 합니다. 하지만 금리와 물가 같은 변수들이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어서 체감 회복은 더디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 분위기 자체는 경기가 안정세로 가야 풀리는데 지금 상황을 보면 내년 상반기쯤은 좀 더 숨통이 트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다만 사회 분위기라는 건 숫자보다 사람들의 기대감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작은 호재에도 금방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 우리나라 경제는 미래에 개선 될 수 있다는 희망이라도 있었다면 현재는
우리나라 인구구조부터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희망마저 꺼져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의 경제 이슈를 극복하려면 사회분위기 보다 인구구조를 개선할
방안을 찾아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는 언제 경기가 회복되고 사회적 분위기가 좋아질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장기 침체의 문 앞에 있기에
언제 경기 회복이 되고 언제 사회분위기가 좋아질지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할 것입니다.
다만, 한가지 분명한 것은 지금 기회를 놓쳐버리면
분명 경기 회복이 더 어려워질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는 세계적이 경기 침체와 경기침체를 막기 위한 정책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서 생활이 어려워진것이 맞습니다. 이런 상황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론 공식처럼 안좋은 일 뒤에 좋은일이 있거나, 좋은일 뒤에 안좋은 일이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의 정부에서 경제를 살리기 위한 각종 노력을 하고 있고 전반적으로 사회분위기가 되살아나려면 특정 이슈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단기간에는 어렵겠지만 내년부터 조금씩 회복 기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