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달의 표면에 구멍이 나있는데..

달의 표면에 구멍이 난것이 운석 떄문이라고 들었던거 같은데..

그럼 지구에 작은 운석이 충돌한다면 달의 표면 처럼 작은 구멍이 생기나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지구에도 운석이 충돌하면 당연히 달과 같이 충돌자국이 발생됩니다.

    현재도 지구에 운석 충돌자국이 남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미국 애리조나에 있는 충돌 자국 입니다. 지름이 1.2KM에 달하고 깊이도 175M 로 매우 큰 자국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지구에도 운석이 충돌하면 구덩이와 같이 흔적이 남습니다. 다만 달과 다른 점이 있다면 지구에는 대기가 존재하여 바람이 불어 흔적이 지워지거나 감춰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달에는 대기가 없어 바람이 불지 않아 흔적이 거의 영구적으로 남아 있는데, 지구는 그렇지 않을 수 있죠. 하지만 지구에서도 흔적이 완전히 감춰지기 까지 굉장히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웬만하면 흔적이 남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달과 달리 지구에는 대기가 있기 때문에,

    작은 운석들은 지구의 대기권에서 마찰로 인해 대부분 소실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달 표면에는 여러 뚜렷한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중 크레이터가 대표적이며, 사선, 크레이터 체인, 달의 바다, 열구 및 산 등이 있습니다.

    ※크레이터 : 달, 위성, 행성 표면에 있는 크고 작은 구멍을 말한다. 운석, 화산, 내부가스의 분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만들어졌습니다.

    그런데 지구는 대기권이라는것이 있어서 운석이 떨어지게 되면 모두 타버려서 거의 지구로 직접 떨어지는 것은 적습니다.

    지구의 대기권은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고지대에 있는 많은 구덩이를 크레이터라고 했는데요. 이들 크레이터는 전부 운석이 달에 부딪히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달에 우주선이 가기 전까지는 화산 활동으로 크레이터가 생겼다고 생각하였으나 달의 특징을 자세히 확인하면서 운석과의 충돌이라는 것이 확실해졌습니다. 운석과의 충돌은 폭탄이 터지는 것과 비슷합니다. 운석은 충돌할 때 초속 20km 이상이어서 충돌 후에는 운석 전체가 증발하여 형체를 볼 수 없습니다. 부딪힌 달의 일부는 증발하거나 녹지만 대부분은 부딪혀 생긴 둥근 부분의 가장자리에 쌓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