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침착한바다꿩172
침착한바다꿩172

자녀교육관련해서요 수학은 언제부터 하면되나요

현재 6살인데요 같이 보드게임을 하다보니 수학이 너무 모르는것같아서 교육을 해볼까하는데 주변에서는 빠르다고 하더라구요 언제부터 보통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우선은 아이와 가볍게 집에 있는 사물이나 장난감등을 이용해서 수의 원리에 대해서 알려주시면서 점차 다가가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지금부터하셔도되요

    다른사람이빠르다고안하면

    나중에늦어지면 그사람들이책임지지않습니다

    아이를 성장시키는건 부모가해주셔야되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6살이면 수학 교육을 시작하기 좋은 시점이에요! 사실, 수학은 단순히 숫자나 연산만 배우는 게 아니라,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기초를 다지는 시기거든요. 주변에서 빠르다고 말할 수는 있지만, 이 나이에는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수학적 개념을 접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습니다.장난감 정리, 요리, 쇼핑 등 실생활에서 수학적 사고를 유도할 수 있는 활동들을 해보세요. 예를 들어, 재료의 양을 맞추거나, 물건을 나누는 등의 상황에서 수를 세거나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수학 교육을 시작할 때 중요한 건, 아이가 즐기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거예요. 강압적이기보다는 놀이처럼 다가가면 더 흥미롭게 배울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시기에는 너무 어려운 개념보다는 기본적인 개념을 재미있게 접하는 것이 중요해요. 아이에게 수학교육을 시킬 수 있는 시점은 아이마다 다르니 천천히 교육을 해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보통 수학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배우기 시작하므로 이때부터 배워도 충분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다만, 아이의 수준을 고려했을 때 기본적인 수 읽기, 간단한 수의 더하기와 빼기, 여러 도형의 모양을 인식하기는 7세 수준에서도 다룰 수 있다고 보입니다. 이때, 문제 위주로 학습하는 것보다는 구체적 조작물을 이용한 놀이 위주로 학습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수학은 7살 즈음 부터 기초연산과정을 공부하면좋습니다 보드게임등 실생활 관련된 것들을 접목해 가르치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지금부터 수의 개념과 덧셈 정도는 가르쳐 주셔도 됩니다.

    집에 있는 블록이나 물건을 통해서 숫자와 연산 개념을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강압적인 학습은 아이의 흥미를 잃게 만들 수 있습니. 대ㄴ 보드게임, 퍼즐, 블록 놀이, 카드 게임 등을 활용해 재미있게 숫자를 접하게 하세요. 장보기나 간식 나누기처럼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숫자와 수학을 접할 기회를 만들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대부분 아이들은 4-7세 사이에 숫자와 기본적인 수 개념을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6살이라면 이러한 기초를 강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직은 추상적인 개념보다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배우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보드게임을 하면서 숫자를 사용하거나 간단한 덧셈과 뺄셈을 이야기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