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홀짝홀짝마셔봐
홀짝홀짝마셔봐

AI 기술로 인한 공무원 숫자의 감소?

AI 기술의 발달로 인행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도 활용이 된다고 하면,

앞으로 공무원들의 숫자는 점점 감소가 될까요?

효율성 측면에서는 아주 좋아질 것 같기는 한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AI 기술의 발달로 단순 반복 업무는 자동화되어 공무원의 업무 효율이 높아질 것입니다. 이에 따라 일부 직무에서는

    인력 수요가 줄어들어 공무원 숫자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민 서비스나 정책 판단처럼 인간 중심의 역할은

    여전히 필요합니다.
    AI는 보조 도구로서 활용되며 모든 업무를 대체하긴 어렵습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역할 변화가 중심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여집니다. ㅎ

  •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장기적으로 볼 때는 젊은 층 인구도 줄어들기 때문에 서비스 직종에는 AI 를 적용하여 인원 최적화 하는 것도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AI가 공공 서비스에 도입된다면 민원 처리, 행정 문서 작성, 단순 반복 업무는 자동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로인해서 일부 직군의 경우 인력이 줄 수 있고, 사람의 판단이 필요하고 공감이 필요한 쪽에서는 그래도 여전히 공무원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따라서 단순한 숫자 감소보다는 업무적으로 재편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단순 반복적인 민원 처리 문제와 문서 작성 등은 대체가 가능해 공무원 수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완전 대체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지며 정책을 결정하거나 민원 현장을 대응하거나 책임 있는 판단에 여전히 사람이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단순 업무 중심 직종은 감소할 수 있겠지만 전체적으로 업무 형태의 변화 및 재배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