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1학년 아이들 관계에 개입하시나요?
아이들 관계에 어느정도 개입하시는지요? 1학년은 약속을 스스로 잡기도, 만나기도 어려운 상황인데 이런 관계에 어느정도 개입하시는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초등 학교 1학년 아이들은 아직은 혼자 다니는 것이 무리 일수 있어요
당연히 부모님과 함께 다녀야 하고 학부모 모임도 있습니다
아직은 아이들 스스로 친구를 만드는 것 보다 엄마 끼리 친하면 아이들도 함께 놀이를 하는
구조 입니다
학부모님 모임을 통해 서로 의견도 나누고 정보를 얻기도 합니다
처음에는 함께 이야기를 나누거나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서로 마음에 맞는 엄마들 하고
무리를 만들기도 합니다
보통은 초등 2학년 까지 학부모 모임을 통해 서로 어울리기도 하지만 3학년이 되면
엄마의 의견과는 상관없이 아이가 서로 마음이 맞는 친구와 어울리곤 합니다
2학년 까지는 엄마나 아빠가 신경 써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빠가 학부모 모임에 나갈수도 있지만 대부분 엄마가 많기 때문에 아빠가 나가면 소외 되기 쉽상 입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1학년 아이들은 친구 관계에 도움일 필요할 수 있어요. 부모가 적절히 안내하고 지원하되, 지나치게 개입하기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해결하도록 격려하는 것이 중요해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1학년은 자율적인 관계 형성이 어려워 부모가 적절히 개입할 수 있습니다. 친구 관계를 지원하고 대화를 유돟하되 과도한 개입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먼저 관찰과 지원의 역할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친구들과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을 알아차리고 그 어려움에 대해 자연스럽게 대화하며 아이가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어떤 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때 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문제를 스스로해결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친구와의 갈등을 이야기할 때 "너는 어떻게생각하니" 라는 방식으로 아이가 스스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하세요
그리고 기본적인 사회적 규칙을 가르치는 것이 필요합니다 1학년 아이들은 기본적인 예의, 친구와의 의사소통 방법, 감정조절법 등을 배우는 시기입니다 부모나 교사는 아이가 다른사람과 어떻게 대화하고 친구관계에서 어떤 행동이 좋은지 등을 알려줘야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 1학년 아이들 관계에는 개입하지않는게좋습니다 아이들 스스로 친해지도록하는게의미있죠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초등학교 1학년인 경우 아이들의 약속과 놀이에 어느 정도 개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밤 늦게 까지 친구집에서 논다거나, 위험한 놀이를 하는 경우들이 종종 있습니다.
대신에 사소한 것들은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면서, 자립심을 키워주는 것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