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2

물은 0도에서 어는데 왜 바닷물은 얼지 않나요?

일반적인 상식으로 물은 0도에서 언다는건 다 아는사실인데 그렇다면 왜 바닷물은 0도에서 얼지 않은지 궁금해요. 어떤 과학적 현상인지 자세히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한참매12
    순한참매1223.05.22

    안녕하세요.

    겨울에 소금으로 인해 어는점 내림현상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수온이 0도가 되어도 얼지 않습니다. 답변 채탁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0도에서 어는 반면 바닷물은 약 -2도에서 어는 이유는 바닷물에 소금이 녹아 있기 때문입니다 소금이 물의 어는점을 낮춰서 바닷물이 0도 이하로 떨어져도 얼지 않게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담수보다 염분 농도가 높습니다. 염분은 물의 얼어잡는 점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인 물의 얼어잡는 점은 0도입니다. 그러나 염분이 있는 바닷물은 염분이 물 분자 사이에 들어가 얼어잡는 점을 낮춥니다. 평균적으로 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약 3.5%로, 이는 얼어잡는 점을 약 -2도로 낮추어 물이 얼지 않게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이 얼지 않는 것은 염분과 파도 때문입니다. 바닷물에는 2.5~3% 정도의 염분이 들어 있습니다. 염분 때문에 바닷물의 어는점은 영하 1.9℃ 정도로 내려가는데다 밀도가 가장 클 때의 온도도 4℃가 아닌 어는점 부근입니다

    어는점 부근의 차가운 바닷물은 계속해서 깊은 바닷속으로 가라앉습니다. 대양 대류 대순환(Oceanic Conveyor Belt)이 일어나고, 북극해 밑바닥의 해수 온도가 4℃보다 훨씬 차가운 것도 이 때문입니다.

    소금은 녹기 위해 주위에서 열을 많이 빼앗아 주위 온도를 낮추기도 합니다. 그러나 소금이 녹은 바닷물은 소금에 포함된 잘 얼지 않는 성질의 염소 성분 때문에 왠만해서는 잘 얼지 않습니다. 게다가 출렁거리는 파도가 액체가 고체로 되는 것을 방해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기 시작하는 온도는 0도입니다. 그러나 바닷물은 순수한 물과는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0도에서 얼지 않습니다.


    바닷물은 물과 함께 다른 물질도 함유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염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염분은 물의 얼음 결정화를 방해하는데, 이는 물 분자들 사이에 있는 결합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염분이 물 속에서 물 분자들 사이에 끼어들면, 물 분자들이 서로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여 얼음이 형성되기 어렵게 만듭니다.


    또한, 바닷물은 지구 상에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지역에 위치한 바다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따라서, 주변 온도가 낮아져도 바닷물의 온도가 충분히 높아서 얼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이 얼기 시작하는 온도인 0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도 바닷물은 얼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불순물이 많아 어는점이 0도보다 더 낮습니다

    그리고 파도가 쳐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잘 얼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물이지만, 순수한 물과는 조금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닷물은 순수한 물에 다양한 미량 원소와 물질들이 녹아있기 때문에, 순수한 물보다 얼리기가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바닷물의 얼음점이 순수한 물의 얼음점보다 낮기 때문입니다. 바닷물의 얼음점은 약 -1.9도 정도로, 순수한 물의 얼음점인 0도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바닷물은 물보다 더욱 얼리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바닷물의 염분 농도가 높아지면 얼리기가 더욱 어려워집니다. 염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얼음점이 더욱 낮아지기 때문에, 바닷물의 경우에는 염분 농도가 높아지면 더욱 얼리기가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바닷물은 순수한 물보다 얼리기가 어렵지만, 염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얼리기가 어려워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이 0도에서 얼지 않는 이유는 염분의 농도와 물의 얼음의 물리적 특성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물은 0도에서 얼음으로 상변화합니다. 이는 물 분자들이 얼음 구조로 배열되기 위해 분자 운동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얼음은 비정자 구조로서 분자 간에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격자 형태로 정렬됩니다.

    하지만 바닷물은 순수한 물과는 다르게 염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닷물은 평균적으로 약 3.5%의 염분(주로 염화 나트륨)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염분은 물 분자 사이의 수소결합을 방해하고 얼음 구조의 형성을 어렵게 만듭니다.

    염분이 물에 녹을 때, 물 분자와 염분 입자 간에 전기적인 상호작용이 발생합니다. 이 상호작용은 물 분자를 더욱 움직이고 자유로운 형태로 유지시키며, 얼음 구조로의 정렬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염분이 농축된 바닷물은 순수한 물보다 얼리기 어렵습니다.

    바닷물의 염분 농도가 높을수록 얼리기가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염분 농도가 낮은 물일수록 빠르게 얼어서 얼음이 형성됩니다. 예를 들어, 담백한 물이나 녹아서 얻은 빙수는 얼음이 빠르게 형성되는 반면, 바닷물은 염분 농도가 높아서 얼리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바닷물은 염분의 영향으로 인해 0도에서 얼지 않고 액체 상태로 유지됩니다. 실제로 바닷물의 얼음은 보다 낮은 온도에서 형성되며, 얼음이 형성될 때 남은 물은 염분 농도가 높아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바닷물이 얼음으로 얼기 위해서는 더 낮은 온도와 더 큰 얼음 결정 성장의 압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바닷물은 소금물로 어는 점이 내려갑니다 물은 보통 0도에 얼지만 바닷물은 –2도에서 얼기 시작입니다 그 이유는 바닷물에 염분이 녹아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에는 염분이 들어있습니다 그것도 아주마니



    집에 냉장고에 생수 와 소금물(소금다녹여서) 얼려보세요 자주확인해서 뭐가더 먼저 얼까요?


    생수가 더 빨리 얼어요 ㅎㅎ



    바닷물에는 염분이 있어서 어는점이 기준치와 달라져서 그래요 ㅎㅎ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나 강이나 다같이 물로 되어 있습니다.

    순수한 물이 얼고 녹는 온도는 0도 C 입니다.

    그런데 바닷물에는 소금기가 들어있고, 그 소금기가 들어 있으면 물(소금물)이 어는 온도가 약간 내려갑니다.

    즉 3.5%의 소금을 포함한 바닷물의 빙점, 즉 바닷물이 어는 온도는 -1.91℃ 입니다.

    보통의 물인 강물이 어는 온도보다 약 2°가량 낮은 온도에서 어는 것입니다.(이것을 소금물의 빙점강하

    또는 융점강하라 부른다).

    따라서 추운 겨울날 바깥기온이 영하 10℃라던가 영하 15℃쯤으로 내려가면 강물뿐만 아니라 바닷물도

    얼것이 예상됩니다.

    그런데도 누구나 다 아는 것처럼 우리나라에서는 아무리 추운 날에도 바닷물은 절대로 얼지 않습니다.

    강물이 꽁꽁 얼어붙은 날에도 말입니다. 왜 그럴까요?


    1. 물의 비중은 4℃때 가장 무겁습니다.


    이것을 알려면 먼저 호숫가나 강가의 물이 어떻게 어는가를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강물이 어는 것을 살펴보면 강물은 반드시 위로부터 얼지 밑바닥에서부터는 절대 얼지 않습니다.

    이것은 물론 호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물의 특성 때문입니다. 즉, 물은 4℃때 (정확하게는 3.98℃때) 가장 무겁습니다(비중 또는 밀도가

    가장 크다고 한다). 쉽게 말해 물의 무게는 4℃보다 3℃, 3℃보다 2℃, 2℃보다 1℃, 1℃보다 9℃ 등

    4℃(3.98℃)와 이하에서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가벼워집니다. 한편 4℃(3.98℃)이상에서는 6℃보다 5℃,

    5℃보다 4℃, 4℃보다 3.98℃때 등 동도가 낮아질수록 물의 무게는 무거워집니다. 바로 이 점에 호숫가의

    물이 수면 윗쪽부터 얼게 되는 비밀이 들어 있습니다.

    즉 그 이유는 이렇습니다. 어느 겨울날 밤 바깥 기온이 갑자기 낮아져서 영하의 온도인 -10℃가 되었다 합시다.

    그러면 호수표면에 있던 물의 온도는 바깥공기 때문에 그 온도가 내려갑니다. 가령 호숫가의 온도가 주간에

    8℃였다면 이 호숫가의 표면의 온도는 8℃에서 7℃로, 7℃에서 6℃, 6℃에서 5℃, 5℃에서 4℃로 내려갑니다.


    그런데 온도가 6℃에서 5℃로 내려가면 5℃의 물은 6℃ 때보다 무거우므로 5℃로 온도가 떨어진 물은 곧

    호수밑으로 가라앉습니다. 그대신 호수 밑에 있던 6℃이상의 가벼운 물이 위로 올라옵니다. 따라서 호수

    전체의 물의 온도가 6℃가 될 때까지 이런 대류현상은 계속됩니다.


    호수전체의 물의 온도가 모두 5℃가 되면 이번에는 호수표면에 있던 물의 온도가 다시 4℃로 떨어집니다.

    4℃의 물은 5℃의 물보다 무거우므로 밑으로 가라앉고 그 대신 호수 밑에 있던 5℃ 이상의 물이 위로 올라

    옵니다. 호수의 물은 이런 대류과정을 되풀이 하는 결과 6℃→5℃→4℃→3.98℃로 냉각이 됩니다.


  • 바닷물은 물에 해산된 염분(주로 염화 나트륨)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염분은 물의 냉각점을 낮추는 효과를 가지며, 얼음의 생성을 어렵게 만듭니다. 일반적인 물의 냉각점은 0도인 반면, 염분이 있는 바닷물은 약 -2도에서 얼기 시작합니다. 염분은 물 분자 사이의 결합을 방해하고, 얼음의 결정화 과정을 어렵게 만들어 열을 더 많이 빼앗아야 얼음이 형성될 수 있게 합니다.


    1. 염분 함유: 바닷물은 담수와 달리 염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염분은 물의 얼음 결정 형성을 어렵게 만듭니다. 염분은 물의 용액을 형성하고, 이는 얼음의 결정 생성을 어렵게 합니다. 염분이 물 속에 존재하면 얼음이 형성되는 온도인 0도에도 바닷물은 얼지 않습니다.

    2. 냉각과 열전도: 바닷물은 많은 양의 물을 포함하고 있어 냉각이 더 어렵습니다. 얼음 형성은 물이 냉각되면서 분자의 운동이 감소하는 과정입니다. 바닷물은 열전도성이 높은 물체로서 냉각이 어렵고, 대량의 열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얼음 형성이 어려워집니다.

    3. 용액의 얼음점 수축: 염분이 포함된 용액의 얼음점은 순수한 물의 얼음점보다 낮아집니다. 바닷물은 염분을 포함하므로 얼음점이 순수한 물보다 낮아지는데, 이로 인해 더 높은 온도에서도 얼음 형성이 어려워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안에는 소금, 기타이물질, 무기염류등등이 포함되어있어 물이어는것을 방해합니다.

    물분자사이사이 위치하여 서로결합하는것을 방해하기때문에, 더 낮은온도에서 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수한 물은 어는 온도가 0도 입니다.

    그런데 이 물에 불순물(소금) 등이 들어가면 어는 점이 낮아 집니다. 이것은 물분자가 붙어서 어는 것은 이 불순물이 방해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염분이 있는 물은 얼음의 녹는 점을 낮춥니다. 일반적인 순수한 물의 냉각 응고점은 0도입니다. 그러나 바닷물에 포함된 염분은 물 분자 사이의 결합을 어렵게 만들고, 얼음의 형성을 억제합니다. 따라서, 바닷물의 냉각 응고점은 0도보다 낮아지며, 대부분의 바닷물은 약 -2도에서 -1.8도 정도에서 얼기 시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어는 점은 0도 입니다. 하지만 불순물이 들어가면서 물의 어는 점이 낮아지는 것입니다. 특히 물안에 염분이 다량 녹아 있어서 물 분자들이 모여서 얼음이 되는 것을 방해하여서 일반적으로 바닷물의 어는 점은 -1.9도 이하가 된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가 0도에서 얼지 않는것은 소금떄문입니다. 염분 농도가 높기 때문인데요 바다의 소금기가 물이 어는 온도를 떨어지게 만들기 때문에 바닷물은 잘 얼지 않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