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젊은몽구스151
젊은몽구스15122.10.01

가을하늘은 왜 파란색깔띠는지요

화창한 가을하늘색은 거의구름없이 파란색깔을 띠는이유는 무엇일까요

물감으로색칠해놓은 형태로파란색을 띠는하늘이 아름답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01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인것은 빛은 산란 때문입니다. 태양빛이 지구로 오면서 질소와 산소등의 대기에의해 굴절됩니다. 여러 가시광선의 색중에 파란색 계열(파남보)은 파장이 짧아 지표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하늘에서 모두 산란 됩니다. 산란된다는것은 물감을 칠하듯이 모두 사방으로 퍼진다는 의미입니다. 하여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여름에는 덥고 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북상하여 한반도의 하늘을 덮고 있어 태양빛이 대기의 수분에의해 굴절되어 탁하게 보입니다. 하지만 가을에는 차고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기에 수분이 없어 빛의 굴절이 수분이 있을때보다 적게 나타나 대기에서 산란되는 파란색 계열의 빛이 선명하게 보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높고 더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을은 이동성 고기압에 의해 하늘의 미세먼지가 많이 제거됩니다.


    이에따라 빛의 산란정도가 바뀌어 짙은 푸른색을 띱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늘에서 파란색의 파장 영역대의 빛이 공기와 산란하여 여기저기 튀다 우리 눈으로 들어온 것이죠. 반면에 다른 빛은 모두 공기를 투과하여 지면에 닿기 때문에 하늘의 색에는 기여하지 않습니다.

    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왜냐하면 차고 건조한 기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대기 중에 수증기량도 적고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맑은 기후이죠. 또한 미세먼지도 적은 시기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대기와 충돌해 빛의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하늘이 높낮이는 햇빛의 산란에 의해 결정됩니다.

    가을엔 대기 중의 먼지가 다른 계절보다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따라서 더 높은 고도에서 빛이 산란이 되고, 하늘을 보면 더 높게, 더 맑게 보이므로 파랗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희의 눈에 보이는 색깔들의 이유는 모두 태양빛의 파장 때문입니다.

    하늘의 경우 하늘에 있는 공기층 및 입자에 의해 태양빛의 파랑색파장이 반사되고 나머지는 흡수되거나 파장의 길이가 닿지 않아 파랑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