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협상 타결이 국내 증시에 미칠 영향은 ?
한미 관세 협상이 15%로 타결됐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수치로 봐서는 아주 선방한 것으로 여겨지는데요. 이 협상 타결로 인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자동차와 철강 분야는 관세 영향으로 많이 안좋아 지는걸로 보이는데요. 반대로 이득을 보는 산업군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숫자만 보면 15% 관세는 선방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을 좀 들여다봐야 합니다. 특히 자동차랑 철강 쪽은 이미 미국 시장 점유율이 높았던 상황이라, 추가 관세 부담은 수익성에 직격탄이 될 수 있습니다. 증시 반응도 이런 우려를 반영해 수출 중심 업종이 약세를 보이는 중입니다. 반면에 이득 보는 쪽도 있습니다. 이번 협상 과정에서 조선, 반도체 소재, 일부 친환경 부품은 미국이 협력 의사를 밝힌 분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쪽은 규제 완화나 공동 기술개발 같은 실질 혜택이 기대되고, 증시에서도 미리 움직이려는 자금이 몰리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통상적인 흐름으로 보면 관세 협상은 업종 간 명암을 더 뚜렷하게 만들기 때문에, 주식시장도 이 변화에 맞춰 재편되는 움직임이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사실상 이익을 보는 산업군이 많지 않습니다. 현재로서는 의약품, 반도체의 경우에는 관세 부과가 유예되고 있기에 이러한 측면에서는 이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이번 투자를 통하여 조선업에 1500억불을 투자하기로 하였기에 미국에 재투자가 필요하다고 하더라도 조선업계에는 투자금이 추가될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다만 이외 업계는 현재 통관시점 조정을 통하여 어떻게든 관세를 회피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