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최근에 천문우주관측 분야에서 발견되었다는, 시아노코로넨이 유기반도체와 어떤 관련성을 가지나?

시아노 코로넨 이라하면

여러게의 벤젠고리가 육각형모양 대창으로 결합된

아주 복잡한 구조의 탄화수소계열 유기분자로 압니다

또한

유기반도체 라는 것은

탄소를 중심으로 한 유기분자를 기반으로 전기반도체적인 특성을 갖는 물질로

무기반도체와 달리 공유 전자구름이 풍부해서 전자가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가능하여 전기전도성이 나타나고,

가볍고 유연해서 저비용을 제조가 가능한 물질로 압니다.

최근 우주 관측 분야에서

성운 과 여타 다른 심우주 상의 극한의 환경에서

사이노코로넨 이 관측 된 걸로 나타나는데요

이게 실험실이 아닌 자연적인 환경에서 존재한다고 처음 확인된 사항이긴한데

이게 유기반도체와 관련성을 가지고 과학적 영감을 주고 있다고 하는데

어떤 관련성에 근거 한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아코로넨은 벤젠 고리들이 육각형 모양으로 여러 겹 연결된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에 시아노기가 결합된 분자로서 전자들이 파이결합 전자 구름 안에서 공명 구조로 이동 할 수 있기에 전자 이동성이 높습니다. 유기반도체 재료와 매우 유사한 전자적 특성을 가지게 됩니다. 우주에서 최근에(2023~24년사이) JWST 와 ALMA 등이 관측을 통해 시아노코로넨과 같은 고리형 유기분자가 성운, 성간매질 등 극한의 환경에서 실제 존재한다는것을 확인하였꼬 실험실에서만 가능하다고 여겼던 복잡 유기 전도성 분자가 자연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지요. 이들을 재료과학적 측면에서 천연적 유사 구조를 모방한 신소재 디자인을 만들어 낼수도 있고 합성 화학적으로 기존에 고온 유기합성 또는 촉매를 사용해야 얻던 구조가 자연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토대로 에너지의 효율적 제조 공정 개발에 실마리가 될 수도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