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참나무다람쥐
참나무다람쥐23.03.09

하늘이 일반적으로 파란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상황에 따라 정도에 차이가 있지만 하늘이 일반적으로 파란색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또한, 계절 및 대기질에 따라 하늘의 색깔이 차이나는 이유도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일반적으로 파란 이유는 대기 중의 분자들이 햇빛의 색깔에 따라 빛을 흡수하고 다시 방출하는데, 이때 파란색 빛의 파장이 다른 색보다 더 많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태양광선은 다양한 색깔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파란색 빛은 더 짧은 파장과 높은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며, 분자들과 충돌할 때 다른 색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전달합니다. 이에 따라 대기 중의 질소와 산소 분자들이 파란색 빛을 산란시키며, 이 산란된 파란색 빛이 모든 방향으로 고르게 흩어져서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반면, 다른 색깔의 빛은 파란색 빛보다 더 긴 파장과 낮은 주파수를 가지므로, 대기 분자들과 충돌할 때 덜 많은 에너지를 전달받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분자들에 의해 산란된 색깔들은 우리 눈에 덜 파악되며, 파란색 빛만이 고르게 흩어져서 들어온 것과 비교하여 눈에 띄게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대기 중 분자들에 의한 파란색 빛의 산란 현상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의 빛이 하늘의 공기를 통과하는데 그 빛을 반사하는 질소가 내는 색이 파랗기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지구의 공기 구성은 질소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나머지 산소 이산화탄소 등등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렇게 질소가 많은데 질소는 빛을 받고 반사할 때 파란빛을 띄기 때문에 우리 눈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이유는 노을이 붉은 이유와 동일합니다. 즉 대기 중 빛의 산란에 의한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