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우리나라 2분기 GDP가 -0.2%로 역성장을 했던데 기저효과 때문인가요?

우리나라 2분기 GDP가 -0.2%로 발표가 되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2.3%인데

2분기 GDP가 -0.2%가 된 것은

1분기의 예상치 못한 성장 때문인가요?

어떤 이유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2024년 2분기 gdp가 -0.2%로 역성장한 주된 이유는 1분기의 예상치 못한 '깜짝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 때문입니다. 1분기에는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 대비 1.3% 증가하여 2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높은 성장률로 인해 2분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률이 나타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여러 경제 전문가들은 1분기의 높은 성장률이 2분기 성장률에 기저효과로 작용하여, 2분기 gdp가 전 분기 대비 0% 또는 그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따라서, 2분기 gdp가 -0.2%로 나타난 것은 1분기의 높은 성장률에 따른 자연스러운 조정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2분기 GDP가 -0.2%로 역성장한 이유는 기저효과와 함께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기저효과는 이전 분기의 경제 성장률이 매우 높았을 때, 현재 분기의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보일 수 있는 현상입니다.

    그러나, 역성장에는 기저효과 외에도 수출 감소, 소비 감소, 투자 위축 등 다양한 경제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이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경제 데이터와 보고서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2분기 GDP 성장률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 2분기 GDP는 나름대로 선방하였지만 1분기 GDP 성장률이 깜짝 놀랄 정도로 높았기에

    기저효과가 발생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내수와 수출이 주춤한 모습을 보이면서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역성장 했는데, 1분기에 1%가 넘는 예상 외의 성장을 했기 때문에 다음분기의 전분기 대비 성장률이 낮게 나왔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발표치 보니 기저효과 보다는 내수가 전기비 내수기여도가 -0.1프로로 역성장 전환이라 3분기 소매판매와 투자지표 부진이 이어지면 2분기 연속 역성장 가능성이 커보이네요

  • 일단 1분기 깜짝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도 큰 영향을 미친것은 맞습니다. 다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한은의 예상치나 시장 예상치보다도 더 안좋습니다. 내수와 순수출이 마이너스 0.1%씩 기록해서 성장률을 낮췄습니다.

    내수의경우 승용차 의류 등 재화소비 부진에 민간소비가 많이 줄었고,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도 줄었다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