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실수가 잦은아이 육아고민이 있습니다

한살아래 동생과 비교해봐도
평소 덤벙거리는 실수가 너무 잦아요..
하루에도 몇번씩
물건 쏟기, 떨어뜨리기.. 식탁에서도 물, 음식 쏟기
그릇 엎기.. 옷에 흘리기 등
잔소리를 자꾸하자니 아이가 위축되고
소심해지는것 같고..
그냥 넘어가자니 계속 덤벙대고 실수하는게
습관처럼 될까봐 걱정입니다.
요즘은 실수하면 혼날까봐 그런지 어른들 눈치를 보기도하고,
때로는 “실수를 안하면 XX이가(자기이름) 아니지~"
하고 장난처럼 말하기도해요ㅜㅜ
이런아이.. 어떻게 지도하면될까요..
고수님들의 조언구합니다..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덤벙대는 아이의 육아 고민에 대해 문의하셨군요. 자녀가 실수를 자주 해서 속상하실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런 문제는 대부분 일시적이며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실수를 비난하면 아이는 자신감을 잃고 불안해지게 됩니다. 대신, 실수를 하더라도 괜찮다는 것을 알리고 다시 도전할 기회를 주세요.
    아이가 어떤 활동을 하기 전에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도록 도와주세요. 예를 들어, 책을 읽기 전에 목차를 확인하고 페이지를 미리 표시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과제를 수행할 때는 단계별로 나누어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각 단계마다 목표를 설정하고 성공했을 때 보상을 주면 아이가 성취감을 느끼고 자신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작은 성취부터 시작해보세요. 쉬운 과제부터 시작해서 조금씩 난이도를 높여가며 성공 경험을 쌓으면 아이가 자신감을 갖게 될 것입니다.

    참고해주셔서 잘 교육해주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실수로 인해 아이가 정서적으로 좌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실수를 해결하는 과정과 방법을 계속 공유해 주세요.

    실수를 대하는 방법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접근하고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자세가 중요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실수가 잦은 아이에게는 인내와 긍정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실수를 지적하기보다는, 왜 실수가 발생했는지 함께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아주세요. 실수를 학습의 기회로 삼아 아이가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은 성취에도 칭찬을 아끼지 않으며, 실수할 때에도 차분하게 지도하면 아이는 점차 개선해 나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혼난다는 느낌이나 안 좋은 느낌으로 혼내는 게 아니라, 담백하게 바른 행동을 하게끔 해주세요. 본인도 의식하고 있는 거라면 정서적으로 긴장감을 느끼지 않도록 해줄 필요가 있어요. 잘할 때 칭찬을 많이 해주시면서 긍정적인 분위기로 바꾸게끔 해주시는 게 좋아요.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아이들은 실수를 하기도 합니다. 아이가 실수를 한다고 화를 내거나 혼을 내게 되면 아이들은 자존감이 낮아지고 위축될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천천히 하는 행동보다는 빨리 하려는 행동으로 인해 물을 흘기거나 밥을 흘리는등 실수를 합니다. 이러한 실수를 하는 상황에서는 너무 급하게 하지 말고 천천히 하면 어떨까? 다음에 좀더 주의해 보자!라는 말로 아이를 긍정적인 언어로 격려해주고 방법을 가르쳐 주면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절대로 아이가 다른 사람들 앞에서 핀잔을 듣거나 훈육을 받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아이의 자존감과 자신감을 매우 깎아먹을 수 있습니다. 실수를 하더라도 최대한 침착하게 아이를 진정시키고 어떤 부분에서 실수를 하였는지 짚어보고 다음번에는 실수를 하지 않도록 격려를 해주시는 게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