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까칠한고릴라5
까칠한고릴라523.07.30

가끔 달이 붉게 보이는 현상이 있는데 그것은 왜 그런걸까요?

가끔 달을 보다보면 노랗지만, 어떨때는 붉은색으로도 보일때가 있잖아요. 왜 가끔 달이 붉은지가 너무 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지구의 대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대기는 태양의 빛을 산란시킵니다. 이때 붉은색 빛이 가장 많이 산란됩니다. 따라서 달이 지평선에 가까울 때는 붉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미세먼지 효과도 있는것 같습니다. 아니면 태양빛이 달에흡수된게 강하게 남아있어 불게 보이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에서 반사되는 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할 때, 빨간색을 제외한 다른 색들은 산란되고 빨간색만 통과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월은 일식 또는 월식과 함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면서 달이 붉게 보입니다.달의 빛은 지구 대기층에 닿게 됩니다. 이 때, 대기층에서 파장이 더 긴 빨간색 빛이 붉게 반사되어 달이 붉게 보이게 됩니다.대기층에서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산란되면서 붉은 빛이 우리에게 도달합니다. 이 때문에 달이 붉게 보입니다.


  • 달이 붉게 보이는 현상은 "붉은 달" 또는 "혈월"이라고 불리며, 주로 달의 일식 또는 월식이 발생할 때 관측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구와 달 그리고 태양의 상대적인 위치와 광학적인 현상에 기인합니다.

    1. 월식: 월식은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입니다. 이때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는 태양 빛 중에서 붉은색과 오렌지색 빛은 대기를 통과하기 쉽고, 푸른색과 보라색 빛은 대기에 산란되어 분산되기 쉽습니다. 그 결과 월식이 발생하는 동안 달의 빛이 붉게 감쇄된 것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구의 일몰 또는 일출이 동시에 발생하는 지역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됩니다.

    2. 대기 산란: 달이 지표면에서 떠오를 때 또는 지표면에서 질 때에도 대기의 산란에 의해 달의 빛이 붉게 보일 수 있습니다. 지표면 근처로 떠오를 때는 달의 빛이 대기를 통과하는 두께가 더 많기 때문에 빛이 산란되고, 땅을 향해 질 때에도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더 많아져서 빛이 분산됩니다. 이러한 산란 현상에 의해 달의 빛이 붉게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달이 붉게 보이는 현상은 월식이나 대기 산란과 관련된 현상으로, 지구와 달 그리고 태양의 상대적인 위치와 대기의 광학적 특성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일시적이며 지구의 다양한 지역에서 관측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붉은달의 경우 태양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고나서 달에 비춰질 때, 산란된 태양빛이 달에 도달하면서 만들어집니다.

    또는, 달에서 나온 빛이 지구의 대기에 산란되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보통 전자의 경우가 더 많기는 합니다.